“과학자 꿈꾸는 아이에게 가장 좋은 학원은 공과 책”

“과학자 꿈꾸는 아이에게 가장 좋은 학원은 공과 책”

입력 2013-11-04 00:00
업데이트 2013-11-04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로봇박사 데니스 홍 美버지니아공대 교수 방한

“한국에 오면 엄마들이 ‘아이를 (저처럼) 세계적인 과학자로 키우려면 어느 학원에 보내야 하냐’고 물어요. 그러면 전 말합니다. 아이에게 가장 좋은 학원은 바로 ‘공’하고 ‘책’ 두 개라고요. 아이가 마음껏 뛰어놀며 스스로 궁금증을 해결하게 도와주면 능력은 저절로 깨어나게 돼 있어요.”

세계적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오른쪽)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가 지난 1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사인을 받으러 온 장애인 관람객과 대화를 나누며 활짝 웃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세계적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오른쪽)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가 지난 1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사인을 받으러 온 장애인 관람객과 대화를 나누며 활짝 웃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세계적인 로봇 공학자 데니스 홍(한국명 홍원서·42)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는 지난 1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과학자를 꿈꾸는 아이를 둔 부모들에게 이같이 조언했다. 한국에서처럼 아이에게 뭔가를 억지로 주입하려 하면 창의성이 자라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2011년 세계 최초로 시각장애인이 직접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를 개발했다. 당시 미 언론으로부터 ‘달 착륙에 버금가는 성과’라는 찬사를 들었다. 유명인사가 된 지금은 틈나는 대로 각국을 돌며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기술 가능성을 알리고 있다.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13 대한민국 보조공학기기 박람회’ 홍보대사로 위촉돼 한국을 찾은 홍 교수는 한국 유학생들을 지도했던 경험을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방식의 문제점에 일침을 가했다.

그는 “한국 학생들은 스스로 답을 창조해야 하는 ‘오픈 엔드(open-end)형’ 문제에 유독 약하다. 주입식 교육에 길들여져 창의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면서 “특히 자신 이외의 모든 이들을 경쟁 상대로 삼는 풍토에서 교육을 받아서인지 토론 수업을 말싸움으로 여기거나 팀 프로젝트에 적응하지 못하는 등 ‘협업 능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홍 교수는 “과학이나 공학에 재능을 보이는 아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학교 교육이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단히 잘못된 생각”이라면서 “위대한 기술은 사람을 온전히 이해해야만 만들 수 있고, 사람을 이해하려면 학교 수업을 통해 인문, 수학, 과학 등의 소양을 충분히 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자신이 시각장애인용 자동차를 개발한 것은 미 시각장애인협회의 주문 사항을 잘못 이해해 빚어진 ‘실수’였다고 밝혔다. 단순히 시각장애인을 태울 수 있는 차량이라고 생각하고 지원했는데, 알고보니 그들이 요구한 것은 시각장애인이 직접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였던 것.

홍 교수는 “처음에는 협회의 요청이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지만 결국 그들이 원하는 차를 만들 수 있었다”면서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문제에 자신을 내던지는 것이 진정한 도전이며 이런 것들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11-04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