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AI’ 인간과의 퀴즈 대결 압승

‘한국형 AI’ 인간과의 퀴즈 대결 압승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6-11-20 23:24
업데이트 2016-11-21 0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엑소브레인’ 장학퀴즈 우승

수능 만점자 등 4명과 맞붙어
30문제 중 25개 정답 골라내

지난 18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대강당에서 열린 장학퀴즈 ‘대결! 엑소브레인’ 녹화 모습. 왼쪽부터 카이스트 출신 연예인 오현민씨, 장학퀴즈 하반기 왕중왕 이정민양, 진행자 이지애 아나운서, 한국형 AI 엑소브레인, 김일중 아나운서, 장학퀴즈 상반기 왕중왕 김현호군, 2016학년도 수능 만점자 윤주일씨. ETRI 제공
지난 18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대강당에서 열린 장학퀴즈 ‘대결! 엑소브레인’ 녹화 모습. 왼쪽부터 카이스트 출신 연예인 오현민씨, 장학퀴즈 하반기 왕중왕 이정민양, 진행자 이지애 아나운서, 한국형 AI 엑소브레인, 김일중 아나운서, 장학퀴즈 상반기 왕중왕 김현호군, 2016학년도 수능 만점자 윤주일씨.
ETRI 제공
“510대350으로 인공지능(AI)이 인간을 이겼습니다.”

지난 18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대강당에서 한국형 AI ‘엑소브레인’(Exobrain)과 우수한 두뇌를 가진 인간이 치열한 지력 싸움을 벌였다. ‘우리 몸 바깥의 뇌’라는 이름인 엑소브레인은 ETRI와 솔트룩스, 카이스트 등 국내 20개 기관과 기업·대학이 2013년부터 진행한 AI 프로젝트의 결과물로, 2022년 법률·특허·금융 등 글로벌 전문지식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됐다. 엑소브레인에는 도서 12만권 분량에 해당하는 백과사전과 국어·한자사전, 일반상식 등의 지식을 담았다.

이날 열린 장학퀴즈 ‘대결! 엑소브레인’에는 장학퀴즈 상반기 우승팀 소속 김현호(안양 동산고3)군, 하반기 우승팀 일원 이정민(서울 대원외고2)양,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만점자 윤주일(서울대 인문학부1)씨, 방송사 두뇌게임 프로그램에서 준우승한 카이스트 수리과학과 출신 연예인 오현민(21)씨가 참가했다. 바로 전날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본 김군은 긴장이 채 풀리기도 전에 대결을 위해 대전을 찾았다.

이날 대결은 사람이 평소에 쓰는 자연어 문장을 보고 제한시간 15초 내에 정답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1라운드는 객관식 10문제, 2라운드는 주관식 10문제, 3라운드는 고난도 주관식 10문제로 총 600점 만점이었다. 엑소브레인이 인터넷을 검색해 답을 찾을 수 있다는 오해를 사지 않도록 인터넷 접속도 차단했다.

오후 2시부터 3시간 30분 동안 진행된 대결의 결과는 엑소브레인의 승리. 엑소브레인은 30문제 중 25개를 맞혀 510점을 따냈다.

앞서 이날 낮 12시 30분부터 언론에 공개된 리허설에서도 엑소브레인은 15문제(300점 만점)에 270점을 기록했다. 엑소브레인은 ‘수동으로 혈압을 잴 때 의사가 청진기를 압박대에 넣는 것은 어떤 소리를 듣기 위한 것인가’라는 13번째 문제의 답(코로트코프음)을 제출하지 못해 유일한 오점을 남겼다. 이날 인간 최고점은 120점이었다.

퀴즈대결을 마친 이양은 “생소한 대결에서 내 답과 엑소브레인의 답이 다를 때 당황했다”며 “인간다운 추론 능력과 직관까지 발전시킨다면 미래에 인공지능이라는 것이 인간의 동반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 총괄책임자인 박상규 ETRI 박사는 “엑소브레인은 일반 PC급 서버 41대를 병렬로 연결해 복잡한 질문을 해석한 뒤 정답 후보를 수백개 뽑아 계산하고 최우선 답을 찾는다”며 오답을 낸 이유에 대해 “인간처럼 언어의 의미를 분석해 정답을 사유할 추론 능력이 아직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엑소브레인은 이날 대결의 우승 장학금 2000만원을 울산시 수해지역 고등학교에 기부할 예정이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6-11-21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