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 상표권 두고 日격투기-韓업체 격투

‘K-1’ 상표권 두고 日격투기-韓업체 격투

입력 2011-02-22 00:00
업데이트 2011-02-22 1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업체 상표등록에 대회주최 日업체 반발(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기자=일본의 이종격투기 이름으로 익숙한 ‘K-1’의 상표권을 두고 대회를 주최하는 일본 업체와 한국 중소 라이센싱 업체 사이의 법적 다툼이 이어지고 있다.

 22일 ㈜케이라이센싱에 따르면 이 회사 대표 김용운(53)씨는 지난 2005년 ‘K-1’이라는 이름으로 상표·서비스표 특허를 출원,2007년 6월 이를 등록했다.

 김 대표는 이 상표를 문구용품이나 가정용품 1천여곳에 사용할 계획을 세우고 일부 제조업체들과 상표 사용계약을 맺었다.

 ‘K-1’ 대회 주최업체인 ㈜FEG 측에서는 이 소식을 접한 후 “이는 명백한 모방 출원으로,소비자들에게 혼동을 가져다 줄 수 있다”며 특허심판원에 등록무효심판을 청구했다.

 그러나 특허심판원에서는 2009년 스포츠설비 관리업,실내경기장 경영업,체육교육업 등 ‘K-1’ 대회와 관련이 깊은 10여 종의 상품에 한해서만 상표 등록을 무효로 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청구를 기각했다.

 심판원은 “특허를 출원한 2005년 당시 ‘K-1’이라는 상표가 저명한 표장이라고 증명할 근거가 없다.또,피청구인이 청구인에게 손해를 가하려는 등의 부정한 목적을 가지고 표장을 사용했다는 증거가 없다”고 판단 이유를 설명했다.

 ㈜FEG 측은 이에 불복해 특허법원에 소송을 냈으나 법원 역시 지난해 “복싱화,운동화,태권도복 등 관련 상표에 대한 등록을 취소한다.나머지 상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수요자를 기만할 염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일부품목에 한해서만 무효판결을 내렸다.

 등록무효 소송이 일단락 되면서 상표권 분쟁은 마무리되는 것처럼 보였지만,이번에는 ㈜FEG 측이 특허심판원에 상표권 취소 심판을 청구하면서 양측의 다툼은 끝나지 않고 있다.

 현행 제도에 따르면 상표를 등록한 후 3년이상 국내에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이해관계인 등이 해당 상표권을 취소해달라는 청구를 할 수 있다.

 ㈜FEG의 대리인 측은 “㈜케이라이센싱 측은 악의적으로 상표를 도용한 것”이라며 “일단 무효 소송에 대한 법원의 판단은 수용했지만,취소 심판 청구를 통해 정당한 권리를 찾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케이라이센싱의 김 대표는 “‘K-1’의 ‘K’는 ‘Korea’를 뜻한다고도 볼 수 있다.일본 업체에서 독점하는 것은 안될 일”이라며 “3월 중에는 최종 결정이 날텐데,이후에는 ‘K-1’이 한국 중소업체의 자랑스러운 브랜드 중 하나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