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올림픽] 스타 없는 평창, 스타 낳는 대회로

[스페셜올림픽] 스타 없는 평창, 스타 낳는 대회로

입력 2013-02-04 00:00
업데이트 2013-02-04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관중 목표 16만명 벌써 넘어

지적장애인의 축제인 스페셜올림픽은 ‘그들만의 잔치’로 끝난 경우가 많았다. 관중석은 텅 비기 일쑤였고 선수 가족만이 자리를 지키는 일이 많았다. 하지만 평창 동계스페셜올림픽에는 구름 관중이 몰려 경기장을 채웠고 대회를 빛낸 스타도 잇따라 탄생하고 있다.

3일 대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개막 후 엿새 동안 16만명 이상이 경기장을 찾은 것으로 추산된다. 폐막이 아직 이틀 남았지만 조직위의 당초 목표였던 16만명(유·무료 각각 8만명)을 벌써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 주말인 2일과 3일에만 각각 3만명 이상이 찾았고 강원 평창과 강릉 인근 도로는 교통 체증으로 몸살을 앓았다.

피겨스케이팅 경기가 열린 용평돔에서는 파도타기 응원이 펼쳐졌고 선수들의 연기가 끝날 때마다 선물이 링크 안으로 쏟아졌다. 플로어하키가 열린 관동대 체육관과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이 열린 강릉빙상경기장에도 발 디딜 틈이 없을 만큼 사람이 몰렸다. 조직위 관계자는 “유명 선수들이 나서는 대회가 아니라서 사람들이 찾아오지 않을까 걱정했지만 예상을 크게 뛰어넘는 성황을 거두고 있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덩달아 ‘스타’도 줄줄이 나오고 있다. 올해 열살인 아프가니스탄 플로어하키 대표팀의 키아사르 사도자이는 관중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키가 120㎝밖에 안 되는 사도자이가 훨씬 몸집이 큰 선수들 사이를 누비는 모습에 사람들이 매료된 것이다.

사도자이가 대표팀에 합류한 것은 채 두 달이 되지 않았지만 일주일에 세 차례 훈련을 거듭한 덕에 동료들과 척척 호흡을 맞추고 있다. 평창 날씨가 춥지 않으냐는 질문에 사도자이는 “겨울 아프가니스탄에는 눈이 1m도 넘게 온다. 이 정도 날씨면 우리가 경기하기에 아주 좋은 날씨”라며 신나했다.

한국 플로어하키팀 ‘반비’의 에이스 권이삭(16) 역시 탁월한 기량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 6월 제1회 한국 플로어하키 리그전에서 10골을 뽑아낸 권이삭은 이번 대회 6경기 만에 8골을 넣으며 ‘득점 기계’로 우뚝 섰다.

165㎝의 작은 키에도 환상적인 드리블로 상대 진영을 휘젓고 골까지 넣는 모습이 스페인프로축구 리오넬 메시(바르셀로나)를 연상시킨다고 해 ‘하키 메시’란 별명까지 얻었다. 그의 활약에 힘입어 반비는 3일 투르크메니스탄과의 3차전은 1-6으로 졌으나 알제리를 4-2로 꺾어 3승1패를 기록했다. 투르크메니스탄에 이어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해 금메달을 향한 희망을 이어 갔다.

대회 전부터 ‘얼짱’으로 주목받은 현인아(15)는 지난 2일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500m와 777m에서 잇달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실력도 뛰어나다는 것을 입증했다. 현인아는 4일 오전 9시 20분에 시작하는 333m 결승에서 3관왕에 도전한다.

이지혜도 3일 1000m 3디비전 결승에서 1분50초42의 기록으로 우승하며 2관왕에 올랐다.

한편 지난 2일 강릉빙상경기장에서 열린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통합 스포츠 체험에서는 쇼트트랙 스타 김동성(33)과 아폴로 안톤 오노(31·미국)가 나란히 출전해 눈길을 끌었다.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오노의 ‘할리우드 액션’에 금메달을 빼앗겼던 김동성은 경기 후 오노와 어깨동무를 하며 사진을 찍었지만 얘기를 나누지는 않았다. 화해는 다음으로 미뤄졌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3-02-04 2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