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B] 첫 8회 마운드 선 몬스터, 다저스 ‘이닝이터’ 보인다

[MLB] 첫 8회 마운드 선 몬스터, 다저스 ‘이닝이터’ 보인다

입력 2013-05-24 00:00
업데이트 2013-05-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능적 투구로 체력 의구심 재워

류현진은 국내 프로야구에서 7시즌을 뛰는 동안 190경기에 등판해 1269이닝을 던져 경기당 평균 6과 3분의2이닝을 투구했다. 이 가운데 27경기나 완투했고 완봉승도 8차례 달성했다. 두말할 필요 없이 한국을 대표하는 이닝 이터(많은 이닝을 책임지는 투수)였다.

그러나 메이저리그로 건너간 이후 투구 수 조절에 애를 먹었다. ‘큰 거 한 방’에 대한 두려움 탓이었다. 지난 18일 애틀랜타전까지 9경기에서 55와 3분의1이닝을 던져 경기당 6이닝가량 던지는 데 그쳤다. 종전 가장 길게 던진 경기는 지난 4월 23일 뉴욕 메츠전으로 7이닝을 3안타 1실점으로 막았다.

23일 밀워키 원정경기에서 류현진은 메이저리그 진출 이후 처음으로 8회에도 마운드에 올랐다. 4회까지 투구 수가 79개에 이르러 6이닝까지도 어렵겠구나 생각할 즈음 5회를 공 4개만으로 막은 데 이어 6회는 공 12개로 넘겼고 7회에는 6개만으로 삼자범퇴시켰다. 달아난 점수를 믿고 맞혀 잡아 투구 수를 대폭 줄인 것이다. 메이저리그 진출 이후 가장 긴 이닝을 소화하면서 벤치의 신뢰를 얻을 수도 있게 됐다.

사실 류현진은 샌프란시스코와의 데뷔전부터 지난 12일 마이애미 경기까지 8연속 6이닝 이상 던져 다저스 역대 최다 기록을 썼다. 그러나 18일 애틀랜타전에서 5이닝 만에 공 100개를 던지고 교체되면서 돈 매팅리 감독에게서 처음 쓴소리를 들었다. 매팅리 감독은 “공 100개만 되면 체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당시 류현진이 강판한 뒤 불펜진이 또 불을 질러 결국 역전패하고 말았다.

야구에서 투수를 평가하는 척도로는 다승, 평균자책점, 탈삼진, 이닝당 출루허용률(WHIP) 등이 있지만 감독이 가장 바라는 건 ‘이닝 이터’일 것이다. 연간 162경기를 치르는 메이저리그 감독으로선 불펜의 힘을 아끼며 마운드 운용의 숨통을 틔우기 위한 첩경이기 때문이다. 완투는 말할 것도 없고 6이닝 이상 3실점 이하로 막으면 ‘퀄리티스타트’라고 떠받드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2013-05-24 2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