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윔블던 테니스] 77년만에 영국인 恨 푼 머리

[윔블던 테니스] 77년만에 영국인 恨 푼 머리

입력 2013-07-09 00:00
업데이트 2013-07-09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윔블던 효과’ 떨치고 조코비치 제압… 男 단식 우승

지난해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 센터코트. 윔블던 테니스대회 남자 단식 결승전을 마친 앤디 머리(영국)는 참았던 눈물을 터뜨렸다. 경기에 앞서 1936년 프레드 페리 이후 처음 영국 선수가 윔블던 남자단식에서 우승 트로피를 안을 것이라는 기대가 온 영국을 들끓게 만들었던 터. 그러나 머리는 로저 페더러(스위스)에게 1-3으로 역전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오죽하면 ‘윔블던 효과’(개최국 영국 선수보다 외국인 선수 우승이 더 많은 현상)라는 말까지 생겼을까.

사실 영국 선수의 윔블던 우승은 잡힐 듯 잡히지 않았다. 팀 헨먼이 1998~2002년 네 차례 4강에 올랐지만 우승하지 못한 채 은퇴했고, 머리 역시 지난해까지 4년 연속 4강에 진출하고도 정상을 밟지 못했다. 윔블던 센터코트가 내려다 보이는 언덕은 헨먼의 이름을 따 ‘HH’(헨먼 힐)로 불리다가 ‘MM’(머리 마운틴)으로 호칭이 바뀌었지만 여전히 영국에서 열리는 윔블던 우승컵은 다른 나라 선수들의 차지였다. 그러나 꼭 1년 뒤 머리는 영국인들의 한을 풀었다. 77년 만이다.

머리가 8일 끝난 윔블던 남자 단식 결승에서 노바크 조코비치(1위·세르비아)를 3-0(6-4 7-5 6-4)으로 완파하고 생애 두 번째 우승컵을 안았다. 상금은 160만 파운드(약 27억 3000만원). 1987년생 동갑인 조코비치와의 상대 전적에선 여전히 8승 11패로 뒤져 있지만 메어저 대회 결승에서는 2승 2패로 균형을 맞췄다. 2011년과 2013년 호주오픈 결승에서는 조코비치가 이겼고, 지난해 US오픈과 이번 윔블던에서는 머리가 승리했다.

최병규 기자 cbk91065@seoul.co.kr



2013-07-09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