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이상 ‘노 골드’ 수모는 없다

더이상 ‘노 골드’ 수모는 없다

한재희 기자
입력 2018-03-01 23:38
업데이트 2018-03-01 2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수단 내일 ‘결전의 땅‘ 입성…금1·은1·동2 최고 성적 목표

오는 9~18일 열리는 평창동계패럴림픽에서 ‘노 골드’ 아픔을 씻을 한국 선수단 본진이 3일 결전의 땅을 밟는다.
이미지 확대
실전 같은 훈련… 집중 또 집중
실전 같은 훈련… 집중 또 집중 9일 개막하는 평창동계패럴림픽에 출전하는 한국 장애인아이스하키 대표팀 선수들이 지난 1월 4일 인천 선학국제빙상경기장에서 퍽 소유권을 차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연합뉴스
5개 종목(장애인 아이스하키, 바이애슬론,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스노보드) 선수와 임원을 아우른 71명은 이날 오전 11시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올림픽 선수촌에 여장을 푼다. 휠체어 컬링 선수들은 따로 훈련하다 입촌식을 갖는 6일 합류한다. 선수단은 6개 전 종목에 걸쳐 선수 36명과 코칭스태프, 임원을 합쳐 85명으로 꾸려진다.

앞서 2일 서울 중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출정식을 갖고 금 1개, 은 1개, 동메달 2개로 2010 밴쿠버패럴림픽 때 18위를 넘어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겠다는 목표를 밝힌다. 노르딕스키 신의현(39·창성건설)과 알파인스키 양재림(29·국민체육진흥공단), 휠체어 컬링, 아이스하키에 기대한다.

지금껏 한국은 은메달만 2개(2002 솔트레이크시티 대회 알파인스키 한상민, 밴쿠버 대회 남자 컬링)를 땄다. 2006년 토리노 대회와 2014년 소치 대회 땐 ‘노 메달’이었다. 이번 대회엔 49개국 선수 570명이 역대 최다인 금메달 80개(설상 78개, 빙상 2개)를 놓고 다툰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8-03-02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