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프로골프(PGA) 투어와 LIV 골프의 신경전이 점점 치열해지는 가운데, PGA가 LIV 골프에 선수 유입을 막기 위한 조치를 단행했다.
1일(한국시간) 골프 채널 등 미국 골프 전문 매체에 따르면 PGA투어는 2022~2023시즌부터 “승인받지 않은 대회에 출전한 선수는 1년 동안 PGA투어 공인 대회에 출전하지 못한다”는 새로운 규정을 시행한다.
이미지 확대
다비드 푸이그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다비드 푸이그
연합뉴스
여기서 ‘승인받지 않은 대회’란 사실상 LIV 골프를 뜻한다. 현재 PGA투어 공인 대회는 PGA투어 대회뿐 아니라 콘페리투어 대회, 그리고 PGA투어와 콘페리투어 대회 월요예선, 자격시험까지 포함한다. 신인의 경우 LIV 골프 대회에 출전하면 PGA 투어는 물론 콘페리투어에도 참여하지 못 하기 때문에 한동안 PGA 투어 진출 길이 막히게 된다.
한국프로골프(KPGA) 코리안투어와 아시아프로골프투어는 공인 대회는 아니지만 PGA가 출전을 허용하고 있는 대회이기 때문에 관계가 없다.
이 규정은 PGA투어 멤버뿐 아니라 아마추어와 다른 투어에서 뛰는 비회원한테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PGA투어 진출을 염두에 둔 선수라면 LIV 골프 대회에 출전할 기회가 생겨도 선뜻 나서면 안 된다는 얘기다.
KPGA 코리안투어 선수나 아시아프로골프투어에서 뛰는 선수가 LIV 골프 대회 출전 기회가 생겼다면 결국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