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코리아, 48년 만에 하계올림픽 역대급 최소 인원 가능성

팀 코리아, 48년 만에 하계올림픽 역대급 최소 인원 가능성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24-01-24 03:28
업데이트 2024-01-24 0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농구·하키 등 파리행 잇단 실패로
200명 이하 땐 몬트리올 뒤 ‘최악’

오는 7월 파리올림픽에 출전하는 대한민국 선수단 규모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단체 구기 종목에서 잇따라 본선 진출권 확보에 실패하고 있기 때문이다. 출전 선수만 따지면 1976 몬트리올올림픽 이후 최소 규모(하계 대회 기준)가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23일 현재 파리올림픽 본선 진출에 성공한 한국의 단체 구기 종목은 여자 핸드볼이 유일하다. 11회 연속 본선 진출의 대기록을 썼다. 남자 축구는 오는 4월 카타르에서 열리는 23세 이하(U23) 아시안컵에서 10회 연속 올림픽 본선 진출에 도전한다. 이 밖에 농구, 수구, 럭비, 하키가 남녀 모두 본선행 불발이 확정됐다. 남자 핸드볼과 여자 축구도 예선에서 탈락했다. 배구도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남녀 모두 본선 진출 가능성이 없는 상황이다. 단체 구기 종목 출전이 ‘역대급’으로 줄면서 출전 선수 규모도 대폭 감소가 예고됐다. 1976년 몬트리올 대회에 50명의 선수를 출전시켰던 한국은 1980년 이후 대회에는 200명 이상을 꾸준히 파견해왔다.

안방에서 열린 1988년 서울 대회가 477명으로 가장 많았고,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대회가 204명으로 가장 적었다. 리우 대회 때 단체 구기 종목 출전이 여자 배구, 여자 핸드볼, 여자 하키, 남자 축구에 그치며 1980년대 이후 최소였다. 210명의 선수가 나섰던 1984년 로스앤젤레스 대회 때는 남녀 배구, 남녀 핸드볼, 여자 농구, 야구(시범종목)에 출전했다.

232명의 선수가 출전한 2021년 도쿄 대회 때 한국은 남자 축구와 남자 럭비, 야구, 여자 핸드볼, 여자 농구와 여자 배구까지 6개 단체 구기 종목에 출전했다. 야구는 파리올림픽 정식 종목에서 빠졌다.

파리올림픽의 정식 종목은 32개다. 앞으로 개인 종목에서 출전권을 더 확보하지 못한다면 한국은 리우 대회 때와 비슷하거나 적은 선수가 파리에 갈 것으로 보인다. 만약 출전 선수 200명 선이 무너진다면 몬트리올 대회 이후 48년 만에 처음이 된다.

선수단 규모는 선수와 임원의 수를 합쳐 결정되기 때문에 출전 선수가 감소하면 파리올림픽 한국 선수단 규모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통상 출전 선수 숫자의 절반 안팎으로 선수촌, 경기장 등을 출입할 수 있는 임원 출입인가(AD)카드를 배분한다.
홍지민 전문기자
2024-01-24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