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정복한 양학선 기술 ‘삼종 세트’

세계 정복한 양학선 기술 ‘삼종 세트’

입력 2012-08-07 00:00
업데이트 2012-08-07 04: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학선(20·한체대)은 런던올림픽 체조 남자 도마에 출전하기 위해 태릉선수촌에서 세 가지 기술을 갈고 닦았다.

광주체고 21년 대선배 여홍철(경희대교수)가 남긴 ‘여 2’와 ‘쓰카하라 트리플’(이상 난도 7.0점), 그리고 지난해 코리아컵 국제초청대회에서 이 종목 최고 난도(7.4점)를 인정받은 ‘양학선’이 세계를 제패할 비장의 무기였다.

양학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종목별 결선 진출자를 뽑는 단체전 예선에서 ‘여 2’와 ‘쓰카하라 트리플’을, 6일 대망의 도마 결승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 때에는 ‘양학선’과 ‘쓰카하라 트리플’을 선보였다.

◇’양학선’은 ‘여2’의 업그레이드 = ‘여2’는 도마 쪽으로 힘차게 달려와 양손으로 도마를 짚은 뒤 공중으로 몸을 띄워 두 바퀴 반을 비틀어 내리는 기술이다.

’여2’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도마 은메달리스트인 여 교수가 현역 시절 창조한 기술로, 지금은 세계 여러 나라 선수들이 따라 한다.

여 교수는 1993년 옆으로 굴러 구름판을 밟은 뒤 공중에서 두 바퀴 반을 돌고 착지하는 ‘여 1’이라는 기술을 선보였다.

이듬해에는 질풍같이 쇄도해 구름판을 정면으로 밟고 나서 두 바퀴 반을 돌고 착지, 공중에서 900도를 도는 ‘여 2’라는 신기술로 승화시켰다.

양학선은 ‘여 2’에서 반 바퀴를 더 도는 ‘양학선’을 완성했다.

방식은 비슷하나 반 바퀴를 더 돌아 세 바퀴를 채우려면 더 높은 점프력이 필요하다.

’여 2’가 매트에 착지할 때 도마 쪽을 보고서는 것과 달리 ‘양학선’은 도마 반대편을 보고 내려선다.

양학선은 올림픽이 끝난 뒤에는 ‘양학선’을 발전시켜 반 바퀴를 더 돌아 총 1천200도 회전을 하는 ‘양학선 2’를 선보일 예정이다.

대한체조협회의 한 관계자는 “회전 후 도마를 등지고 서는 것보다 도마 쪽을 향해 서는 게 선수들은 더 편하게 느낀다”며 “올림픽 후 국제체조연맹(FIG)의 채점 규정 변경에 따라 양학선이 두 번째 신기술을 완성 시기를 저울질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학선의 신기술이 또 한 번 FIG의 채점 규정집에 수록되면 현재 ‘양학선’ 기술은 ‘양 1’으로, 신기술은 ‘양 2’로 등재된다.

◇’쓰카하라 트리플’= 1972년 첫선을 보인 일본인 쓰카하라 미쓰오의 이름을 딴 것으로 도마를 옆으로 짚고 세 바퀴를 비틀어 도는 기술이다.

양학선은 금메달을 따내고자 많은 회전으로 착지할 때 실수할 위험이 큰 ‘양학선’보다 안정적인 착지가 가능한 ‘쓰카하라 트리플’ 연습에 공을 들였다.

런던으로 넘어오기 전 태릉선수촌에서 열린 평가전에서 양학선은 쓰카하라 트리플 기술 때 양발을 제대로 모으고 매트에 내리꽂는 퍼펙트 착지를 수차례 성공했다.

이런 자신감을 바탕으로 양학선은 런던올림픽 결승 2차 시기에서 한 걸음도 움직이지 않는 ‘금빛 착지’에 성공하고 금메달을 결정지었다.

최근 체조에서는 어려운 기술을 위험하게 시도하는 것보다 기술은 쉽지만 정확하고 깔끔하게 구사할 때 높은 점수를 받기 때문에 양학선의 선택은 정확했다고 볼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