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왕이면 앉아가는 2호선 좋은데‘ LG·KCC·kt 동상이몽

‘이왕이면 앉아가는 2호선 좋은데‘ LG·KCC·kt 동상이몽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3-14 12:12
업데이트 2019-03-14 2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삼공사, 6위 오리온과의 승차 1.5로 줄이며 6강 희망

‘이왕이면 앉아 갈 확률이 높은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좋은데…’

서울 시민들 사이에는 ‘앉아서 갈 확률’이 1호선이 2호선보다 낫다는 믿음이 있다. 프로농구에서도 이맘때면 늘 1호선과 2호선 얘기가 나온다. 정규리그 3위와 6위가 6강 플레이오프를 벌이고 승자가 1위와 붙으며, 4위와 6위의 6강전 승자가 2위와 맞붙는 포스트시즌 일정 때문이다. 그래서 1호선 라인(1-4-5위)보다 조금이라도 더 챔프전에 나갈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2호선(2-3-6위)을 타려는, 3위를 차지하려는 세 팀의 순위 경쟁이 정규리그 마지막 엿새를 달구고 있다.

홈 어드밴티지에다 정규리그 전력이 떨어지는 6위와 6강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데다 4강에서 정규리그 1위를 피할 수도 있는 것이 3위 자리이기 때문에 늘 이 줄을 놓치고 싶지 않아 한다. 그런데 올 시즌은 특히나 현대모비스의 기세가 워낙 좋기 때문에 정규 1위를 피하고 싶은 코칭 스태프들의 마음이 더 절실해질 것으로 보인다. 더 만만한 전자랜드와 4강에서 맞붙어 챔피언결정전에 나가고 싶은 것이 솔직한 속내일 것이다.
어느날의 서울 지하철 2호선 객차(위)의 한가한 모습과 1호선 플랫폼의 복잡한 모습을 극단적으로 비교해봤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어느날의 서울 지하철 2호선 객차(위)의 한가한 모습과 1호선 플랫폼의 복잡한 모습을 극단적으로 비교해봤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실제로 14일 현재 3위 LG(28승23패)를 시작으로 KCC(27승24패), kt(26승25패) 등 가운데 현대모비스애 강했던 팀은 없었다. KCC만 현대모비스와 3승3패로 대등했고, LG는 1승5패, kt는 6전 전패로 힘을 쓰지 못했다.

LG가 역시 가장 유리한 상황이다. 16일 전자랜드, 다음날 KCC, 19일 DB와 경기를 남기고 있다. 2위를 확정한 전자랜드가 창원 원정에서 전력을 기울이지 않을 가능성이 큰 데다 19일 상대인 7위 DB도 그때까지 6강 희망이 살아있어야만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LG는 17일 KCC에 17점 이하로만 지면 KCC와 동률로 시즌을 마쳐도 상위에 오른다.

KCC는 15일 kt, 이틀 뒤 LG를 누르면 3위를 확정한 상태에서 느긋하게 19일 전자랜드와 맞붙을 수 있다. 는다. kt를 누른 뒤 LG마저 발 아래 두면 동률로 정규리그를 마치면 상대 전적 3승3패를 이뤄 골 득실을 따져야 한다.

5위 kt도 3위 희망이 아주 사라진 것은 아니다. 남은 세 경기를 모두 이기고 LG가 1승2패, KCC가 2승 1패를 하면 29승으로 세 팀 모두 동률이 되는데 상대 전적이 가장 앞서는 kt가 3위를 차지한다.

한편 KGC인삼공사는 이날 경기 안양체육관으로 불러 들인 DB를 84-63으로 꺾고 2연승에 성공했다. DB(23승29패)를 제치고 7위로 올라선 인삼공사(23승28패)는 6위 오리온(25승27패)과의 승차를 1.5경기로 좁히면서 6강 희망을 살렸다.

인삼공사가 남은 세 경기를 다 이겨도 자력으로는 6위 진입이 불가능하지만 두 경기를 남겨둔 오리온이 모두 패하거나 DB가 한 경기라도 패하면 인삼공사에도 희망이 있다. 인삼공사는 16일 오리온, 17일 삼성, 19일 SK와 홈 3연승을 남겨뒀다. DB도 PO 진출 희망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DB는 16일 현대모비스, 19일 LG 두 경기를 모두 이기고 경쟁 팀들의 패배를 기다려야 한다.

인천에서는 현대모비스가 전자랜드를 103-92로 눌러 홈 18연승을 저지했다. 전자랜드는 123일 만에 안방 패배를 맛보며 지난해 11월부터 이어온 홈 최다 연승 행진을 17연승에서 아쉽게 멈춰섰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