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여자오픈골프- 박성현·리디아 고 공동 3위…랭 우승

-US여자오픈골프- 박성현·리디아 고 공동 3위…랭 우승

입력 2016-07-11 09:29
업데이트 2016-07-11 09: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성현, 10번홀 선두로 나섰다가 추월당해…양희영·지은희도 공동 3위랭, 연장 두 번째 홀에서 노르드크비스트 벌타로 우승 확정

박성현(23·넵스)이 제71회 US여자오픈 골프대회(총상금 450만 달러) 공동 3위에 올랐다.

박성현은 11일(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마틴의 코르데바예 골프장(파72·6천784야드)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4라운드에서 버디 2개와 보기 4개로 2타를 잃어 2오버파 74타를 쳤다.

최종합계 4언더파 284타의 성적을 낸 박성현은 세계 랭킹 1위 리디아 고(뉴질랜드), 양희영(27·PNS창호), 지은희(29·한화)와 함께 공동 3위로 대회를 마쳤다.

이번 대회 우승은 16, 17, 18번 홀 등 3개 홀 연장 승부에서 안나 노르드크비스트(스웨덴)를 따돌린 브리트니 랭(미국)이 차지했다. 우승 상금은 81만 달러(약 9억3천만원)다.

세계 랭킹 40위인 랭은 2006년부터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활약한 선수로 생애 첫 메이저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최종합계 6언더파 282타로 노르드크비스트와 연장전에 들어간 랭은 노르드크비스트가 연장 두 번째 홀인 17번 홀에서 벙커 바닥에 클럽을 댔다는 이유로 2벌타를 받는 바람에 우승이 사실상 확정됐다.

원래 연장 두 번째 홀까지 이븐파로 팽팽히 맞서 있던 둘은 연장 마지막 홀 경기 도중 경기 위원으로부터 노르드크비스트의 벌타 부과 사실을 전해들었다.

결국 랭이 이븐파, 노르드크비스트는 3오버파로 연장전을 마치면서 승부가 갈렸다.

이날 경기 초반에는 리디아 고의 우승이 유력해보였다. 3라운드까지 1타 차 단독 1위였던 리디아 고는 이날 7번 홀(파4)까지 1타를 더 줄이며 2타 차 단독 선두를 질주했다.

그러나 8번 홀(파3)에서 보기, 9번 홀(파5)에서는 더블보기가 연달아 나오는 바람에 선두 자리를 박성현에게 내줬다.

9번 홀 티샷이 왼쪽 러프로 향했고 두 번째 샷은 해저드로 들어갔는데 이 공을 찾지 못하면서 6타 만에 공을 그린에 올린 것이다.

단독 1위에 오른 박성현도 이를 오래 지키지 못했다. 12, 14번 홀에서 1타씩 잃으면서 노르드크비스트, 랭에게 추월을 허용한 것이다.

박성현에게도 마지막 기회는 있었다.

15번 홀(파5) 버디로 5언더파가 된 박성현은 마지막 18번 홀(파5)을 남긴 상황에서 공동 선두였던 랭, 노르드크비스트에게 1타 뒤지고 있었다.

이 홀에서 박성현은 약 220야드 정도를 남긴 두 번째 샷에서 17도 하이브리드 클럽을 잡고 그린을 직접 노렸으나 이 공이 워터 해저드에 빠지는 바람에 추격 의지가 꺾였다.

US여자오픈에서 한국 국적 또는 한국계가 아닌 선수가 우승한 것은 2010년 폴라 크리머(미국) 이후 6년 만이다.

이후로는 2011년부터 유소연, 최나연, 박인비, 미셸 위, 전인지 순으로 이 대회 정상에 올랐다.

박성현은 결국 이 홀에서 오히려 보기를 기록하며 단독 3위에서 공동 3위로 순위가 밀렸다.

한편 김세영(23·미래에셋)은 2오버파 290타로 공동 26위에 오르면서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출전을 사실상 확정했다.

이날 박인비(28·KB금융그룹)가 올림픽 출전 의사를 공식 발표하면서 박인비와 김세영, 전인지(22·하이트진로), 양희영의 올림픽 출전 가능성이 커졌다.

전인지는 이번 대회에서 컷 탈락했으나 한국 선수 가운데 세계 랭킹 5위인 장하나(24·비씨카드)가 1오버파 289타, 공동 21위에 머물면서 순위 역전은 가능성은 크지 않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