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현미경] 얼음판 위에서 웬 비질? - 컬링

[평창현미경] 얼음판 위에서 웬 비질? - 컬링

최병규 기자
입력 2018-02-08 15:41
업데이트 2018-02-08 15: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도의 전략과 머리싸움으로 승부 .. ‘빙판위의 체스’

컬링은 통상 4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빙판 위에 그려진 직경 12피트의 표적판(하우스) 안으로 약 20㎏ 무게의 돌덩이(스톤)을 누가 더 가깝게 붙이느냐를 겨루는 종목이다.
컬링의 경기 방식.[연합뉴스 그래픽]
컬링의 경기 방식.[연합뉴스 그래픽]
컬링하면 떠오르는 장면은 역시 ‘비질’이다. 선수의 손을 떠난 스톤이 움직이는 길을 따라 두 명의 선수(스위퍼)가 달라붙어 열심히 비질(스위핑)을 한다. 이는 컬링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

비질은 경기 시작 전 빙판에 뿌려져 작게 얼어붙은 얼음 입자를 닦아내 스톤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비질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스톤의 활주거리와 휘어지는 정도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스톤의 활주 거리를 늘리고 싶으면 빗질을 더 많이 해야 하고, 스톤을 오른쪽으로 휘게 하고 싶다면 진행 방향의 왼쪽에 강한 빗질을 해야 한다. 이같은 비질을 통해 스톤을 하우스의 중앙에 있는 표적판에 가까이 붙이거나, 상대의 공격을 방해할 수도 있게 된다.

컬링은 버튼이라 불리는 가장 작은 원에 가깝게 스톤을 붙이는 팀이 이기게 된다. 두뇌 싸움을 앞세운 전략과 전술이 중요해 흔히 ‘빙판 위의 체스’라고도 불린다.
이미지 확대
컬링의 경기 도구들. [연합뉴스 그래픽]
컬링의 경기 도구들. [연합뉴스 그래픽]
각 팀 선수들은 매 엔드 각 2개씩 모두 8개의 스톤을 던진다. 상대팀 스톤보다 버튼에 가까이 놓인 스톤의 숫자가 점수가 된다. 10엔드 후 최종 점수로 승패를 결정짓는다.

컬링의 기원은 16세기 스코틀랜드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세계적으로 생활 스포츠로 자리를 잡았으며, 동계올림픽에서는 1998년 일본 나가노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다.

8일 장혜지-이기정 조가 한국선수단에 첫 승을 안긴 ‘믹스더블(혼성 2인조)’은 한 팀 4명씩 나서는 기존 남·녀 종목에 이어 이번 대회 정식종목으로 첫 선을 보이는 컬링 세 번째 세부종목이다.

가장 큰 차이점은 인원수에 있지만, 엔드 수도 남녀 각 10엔드에 견줘 믹스더블은 8엔드까지만경기한다. 매 엔드 투구 수는 8개로 같지만 엔드 수 차이 탓에 전체 투구 수에서도 차이가 난다.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