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돋보기] 얼어붙은 K리그 신인드래프트

[돋보기] 얼어붙은 K리그 신인드래프트

입력 2013-12-11 00:00
업데이트 2013-12-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일프로축구 프랑크푸르트에서 뛰었던 윤주태(23)가 FC서울 유니폼을 입는다.

프로축구연맹이 10일 서울 종로구 축구회관에서 진행한 2014년 K리그 신인선수 드래프트에서 새해 새롭게 출발하는 성남FC는 1순위 1번 지명권을 얻어 경희대 수비수 유청윤(21)을 뽑았다. 1순위에는 클래식 구단 가운데 상주를 제외한 11개 구단이 참여했다. 이어 2번 전남이 지명권을 포기했고 3번 울산부터 8번 서울까지는 지명권을 행사했다. 울산은 실업축구 울산현대미포조선을 우승으로 이끈 김선민(22)을 데려갔다. 제주와 전북도 지명권을 포기했다.

2순위에는 챌린지 9개 구단이 참여했는데 6개 구단만 지명권을 행사했다. 내년 강등되는 강원은 아예 불참했다. 김용갑 감독의 사퇴를 이유로 들었지만 31년 K리그 역사에 구단이 드래프트에 불참한 것은 처음이다.

클래식과 챌린지 구단 모두 참여한 3순위에는 19개 중 13개 구단만 지명권을 행사했다. 4순위에서 지명권을 행사한 구단은 5개뿐이었고, 5순위와 6순위 모두 7개 구단만이 지명했다. 대신 1년 계약에 연봉 2000만원만 건네면 되는 번외 지명에서는 1~6라운드를 통틀어 모두 43명이 둥지를 찾아 현장 지명된 87명의 절반이나 됐다.

이날 신인 드래프트에는 505명이 신청했다가 11명이 철회해 494명만 나왔다. 현장 지명된 87명에 구단 산하 유스팀 출신으로 우선지명돼 드래프트에 참가한 27명을 더해 모두 114명이 직장을 구했다. 신인 드래프트 취업률은 23.1%가 된다. 지난해 28.4%보다 더 줄었다. 연맹은 내년 2월까지 추가 지명할 수 있어 취업률은 더욱 올라갈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현재로선 초중고를 거쳐 대학까지 10년 이상 땀을 흘린 10명 가운데 2명만 프로구단에서 공을 차게 된다는 얘기다.

찬바람이란 표현 대신 꽁꽁 얼었다고 하는 게 옳을 것이다.

전문가들은 구단들이 내년 운영비를 대폭 삭감한 탓으로 보고 있다. 곧바로 경기에 내보낼 수 있는, 연령별 대표팀 경험이 있는 최상급 선수를 구단당 2명씩 18명을 자유계약으로 확보한 데다 유스팀 출신을 뽑은 터라 드래프트에 시큰둥할 수밖에 없었다.

한 구단 관계자는 “(1~4순위로) 연봉 3000만원 이상의 선수를 뽑으면 부담이 크다. 숙식 제공과 수당까지 계산하면 한 명에 연간 5000만원 이상 든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한 지방 구단은 내년 선수단 규모를 28~30명으로 정했다. 40~50명이던 2년 전의 절반 수준이 되는 것.

이렇게 허리띠를 졸라맨 결과가 그라운드에서 어떻게 나타날지 생각하기도 싫어진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2013-12-11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