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초 빨랐지만 ‘길’ 잘못들어…

4초 빨랐지만 ‘길’ 잘못들어…

입력 2010-02-25 00:00
업데이트 2010-02-25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당한 실수로 무너진 크라머

제아무리 빼어난 선수도 긴 경기에선 때때로 어이없이 착각해 일을 그르치기도 한다. 25m 레인을 60차례 도는 수영 1500m와 2분씩 15라운드를 벌이는 복싱에서 싸움을 끝냈는데도 쉼 없이 뛰는 경우를 보며 혀를 끌끌 차게 된다.

이미지 확대
네덜란드 스벤 크라머(왼쪽)가 실격 당한 뒤 코칭스태프의 위로를 받고 있다. 밴쿠버 AP특약
네덜란드 스벤 크라머(왼쪽)가 실격 당한 뒤 코칭스태프의 위로를 받고 있다.
밴쿠버 AP특약
이승훈이 24일 스피드스케이팅 1만m에서 금메달을 딴 데에는 행운도 따랐다. 최강으로 꼽혔던 세계기록 보유자 스벤 크라머(네덜란드·12분41초69)가 실격 처리됐기 때문이다. 그는 8바퀴를 남기고 위치를 헷갈려 아웃코스로 들어가려다 갑자기 인코스로 바꿨다. 인코스를 두 번 탄 것이다. 원래 아웃코스를 치고 들어가야 했다. 함께 레이스를 펼치는 2명이 겹쳐 상대방을 방해하거나 사고가 나는 것을 막기 위해 한 바퀴마다 엇갈려 레인을 탄다.

크라머의 실수로 25바퀴 가운데 18바퀴째부터는 이반 스코브레프(러시아)와 같은 코스를 달리는 장면이 연출됐다. 마지막 8조에서 뛴 크라머는 이승훈보다 4.05초 앞선 12분54초50에 결승선을 끊으며 우승을 확신했지만 허사였다. 게라드 켐케스 코치는 인코스를 가리키는 왼손 검지(아웃코스는 검지와 중지)를 들었고, 착오라는 사실을 새까맣게 모른 크라머는 상대방 위치도 잊은 채 숨가쁘게 내달렸다. 크라머는 “너무 화난다. 집중에 관한 문제였다. 그러나 얼음 위에 있었던 선수는 나였다. 내가 아주 짧은 순간에 잘 결정해야 했다.”며 씁쓸한 표정을 지었다. 그가 고글을 집어던지고 고깔 모양으로 된 레인 마크를 걷어차는 모습은 외신을 통해 지구촌에 그대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김용수 대표팀 코치는 “인코스를 두 번 돌면 3초 정도 기록이 단축될 수 있다. 거리로는 30~40m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크라머는 실격당하지 않았으면 이승훈을 1초가량 앞지르고 금메달을 딸 수 있었던 셈이다. 대한빙상경기연맹 정기훈 심판이사는 “체력 소모가 심한 후반에 실수할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나치게 몰입해도 ‘문제’라는 점을 일러주는 대목이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밴쿠버 동계올림픽 사진 보러가기
2010-02-25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