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에서 임페딩 반칙이란

쇼트트랙에서 임페딩 반칙이란

입력 2010-02-25 00:00
업데이트 2010-02-25 1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몸싸움과 신체 접촉이 빈번한 쇼트트랙에서 자주 나오는 반칙은 임페딩이다.

 밴쿠버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결승에서 한국 대표팀이 실격 판정을 받은 이유 역시 바로 이 임페딩 반칙이 지적됐기 때문이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 규정을 보면 임페딩 반칙은 ‘고의로 방해,가로막기(블로킹),차징(공격),또는 몸의 어느 부분으로 다른 선수를 미는 것’이라고 돼 있다.

 따라서 이날 한국의 실격 판정을 내린 심판들은 6바퀴를 남긴 상황에서 김민정과 중국의 선린린이 부딪히는 과정에서 김민정이 고의로 밀쳤다고 본 셈이다.

 김범주 대한빙상경기연맹 쇼트트랙 심판이사는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김민정이 먼저 코너에 들어가서 킥을 하는 과저에서 날끼리 부딪혔다.그리고 중국 선수가 약간 밀려나갔는데 이 과정에서 김민정이 오른손을 흔드는 것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의 차이”라고 말했다.

 김범주 이사는 “자연스런 동작으로 볼 수도 있지만 심판들은 중국 선수의 진로를 방해하기 위해 막는 동작으로 본 것 같다.그 외에는 임페딩으로 볼만한 상황이 없다”고 설명했다.

 2002년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결승에서 역시 1위로 들어오고도 실격당한 김동성은 임페딩과는 약간 다른 크로스트랙 반칙이 이유가 됐다.

 크로스트랙은 ‘부적절하게 코스를 가로지르거나 다른 선수에게 어떠한 방법으로든 지장을 주는 행위’를 뜻하며 김동성은 뒤따라 오던 아폴로 안톤 오노(미국)의 행보에 지장을 줬다는 판정을 받아 금메달을 눈앞에서 놓쳤다.

 2006년 4월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안현수가 오프트랙 반칙으로 실격당하기도 했다.

 오프트랙은 ‘트랙을 나타내는 블록으로 표시한 커브의 왼쪽으로 한쪽 또는 양쪽 스케이트를 지나감으로 거리를 줄이는 반칙’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