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구 야생마였던 車세일즈맨 “인생 3막은 다시 코트로”

배구 야생마였던 車세일즈맨 “인생 3막은 다시 코트로”

안동환 기자
안동환 기자
입력 2019-03-13 22:30
업데이트 2019-03-14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궁금했습니다] ‘현대맨’ 복귀 꿈꾸는 중년의 마낙길

마낙길
마낙길
장윤창(경기대 교수), 이성희(KGC인삼공사 전 감독), 박삼용(신협상무 감독)…. 그의 입에서 왕년의 배구 선수들 이름이 줄줄 흘러나왔다. 이들 모두 1990년대 현대자동차서비스와 엎치락뒤치락 우승을 다투던 고려증권 소속 선수들이다.

당시 성균관대 87학번 출신으로 ‘배구 코트의 야생마’로 불리던 현대차서비스의 간판 스타가 마낙길(51)이다. 현재 현대차 당진지점장인 그는 13일 “승리했던 기억보다 패배가 더 오래 머릿속에 남나 보다”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마 지점장은 당시 고려증권 선수들은 실업리그의 최대 라이벌인 동시에 청소년 대표 시절부터 각별했던 선배·동기들이었다고 덧붙였다.

마낙길 하면 1991년 배구월드컵 독일전에서 마지막 5세트 11-14로 뒤지던 경기를 17-15로 극적으로 뒤집으며 세트 스코어 3-2의 짜릿한 승리를 안긴 주역으로 꼽힌다. 이 승리로 우리나라는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 출전권을 확보했다. 하지만 그 스스로는 1987년 바레인의 세계청소년대회 결승전에서 쿠바를 꺾은 기억이 더 생생하다며 아직도 감격스럽다고 했다.

“마씨라는 성에 맞췄지만 최대 대회인 백구의 대제전에서 미친 놈처럼 코트를 날고 뛰니까 차마 미친놈이라고 부를 수 없었는지 야생마라고 별명을 지어 주데요.”

현대차서비스는 당시 아파트 10채 값에 맞먹는 계약금 2억원(그는 언론에 공표된 액수보다 실제는 더 많았다고 털어놨다)으로 성균관대 졸업반인 그를 스카우트했다. ‘슈퍼리그’(V리그 전신)에서 부동의 레프트 공격수로 인기가 치솟다 보니 묘한 인연도 있다. 당시 한자까지 똑같은 이름을 지어도 되냐고 직접 허락까지 받은 팬의 아들이 마낙길 전 NC 다이노스 외야수다.

웬만한 배구 경기는 TV로 다 챙겨 본다는 열혈 시청자인 그에게 요즘 배구에 대해 물으니 의외로 “불편하다”는 답이 나왔다. “외국인 선수에 몰빵하는 배구는 결국 국내 선수들을 스타로 키우기 어렵고 용병을 막느라 또 용병을 데려오다 보면 우리 배구 경쟁력에는 ‘독’(毒)이 됩니다. 일선 지도자들이 총대를 메야 하는데 쉽지 않은 현실이에요.”

그의 배구 인생은 실업 입단 7년 만에 끝났다. 서른한 살이던 1997년 현대차 총무부 사원 마낙길로 인생 2막을 연 그는 이제 중역 승진을 앞둔 현대차의 ‘톱5’ 지점장이 됐다. 인생의 반(19년)을 운동선수로, 또 다른 반을 성공한 샐러리맨으로 산 것이다.

마 지점장은 “현대차서비스 7년간 코트에서 어림잡아 2만 5000번 넘게 공을 때렸는데 일선 영업맨부터 지점장까지 22년간 얼추 1만 5000대는 판 것 같다”며 “고객에게 차 한 대 파는 게 경기에서 이기는 것만큼이나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언젠가 코트로 복귀하고 싶다는 뜻도 내비쳤다. “인생 1막은 현대차서비스 선수로, 2막은 현대차 영업맨으로 살았어요. 이제 3막은 현대차그룹의 남녀 배구팀에서 배구 발전에 기여하는 현대맨으로 기억되고 싶어요.”

글 사진 당진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9-03-14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