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SSA! 월드컵] 역동적 칠레 축구… 민주화의 산물?

[NOSSA! 월드컵] 역동적 칠레 축구… 민주화의 산물?

입력 2014-06-24 00:00
업데이트 2014-06-24 03: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블로 네루다
파블로 네루다
이번 대회에서 칠레 대표팀이 보여 주고 있는 놀라운 성과에 남미를 대표하는 민중시인 파블로 네루다의 뜻이 작용했다면 지나친 표현일까.

수도 산티아고의 축구경기장에서 얘기를 시작해 보자. 1971년 네루다는 이곳에 운집한 7만명에게 친구이자 동지인 살바도르 아옌데 대통령의 집권을 축하하는 시를 낭송한다. 아옌데는 남미대륙 최초로 선거를 통해 집권한 사회주의 지도자였다.

그러나 2년 뒤 이곳은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군사정권이 반체제 인사를 구금하고 고문하는 장소로 전락한다. 스러진 이들은 불태워지거나 벽에 발라졌다.

아옌데는 대통령궁으로 진격한 군인들에게 직접 총을 들고 맞서다 절명했다. 사살됐다는 주장도 있었는데 지난 1월 재조사 결과 집무실에서 자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네루다는 12일 뒤 세상을 떴다. 전립선암이 사인으로 발표됐는데 운전기사는 누군가 독극물을 주사해 죽음을 앞당겼다고 주장했고, 결국 지난해 11월 재부검을 통해 근거 없는 주장임이 밝혀졌다.

남미의 많은 국가들이 이처럼 어두운 과거와 마주하고 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독재정권 연루자들을 처벌하는 재판이 재개됐고 브라질에서는 1964년 군사쿠데타로 실각한 주앙 골라르트 대통령의 시신을 재부검해 독살되지 않았다는 점을 확인한 뒤 지우마 호세프 현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재안장했다.

물론 현재 칠레대표팀 선수들은 피노체트의 지긋지긋한 17년 독재가 종식된 뒤 태어난 세대다. 슬픈 역사를 교과서에서 보고 배웠을 뿐 피부로 체감한 세대는 아니다.

그러나 그들도 대표팀 선배들처럼 이곳 경기장에서 열린 각종 대회에 참가해 공을 차고 구르며 뛰었을 것이다. 경기장 곳곳에 어린 무고한 이들의 원혼을 달래면서 말이다.

소설가 겸 언론인 파블로 아조카르는 칠레 대표팀의 공격 지향적이고 효율적인 플레이 스타일이 젊고 정치적으로 역동적인 칠레인들의 영혼과 맞아떨어진다고 말한다. 나아가 피노체트 독재가 더 오래 갔더라면 칠레축구의 변모는 없었을 것이라고 단언한다.

그런데 칠레가 스페인을 2-0으로 거꾸러뜨린 지난 18일, 킥오프 4시간여를 앞두고 네루다의 미공개 원고 20편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우연의 일치치곤 참 묘한 일이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2014-06-24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