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의 우리은행ㆍ지방은행ㆍ증권 분리 매각

우리금융의 우리은행ㆍ지방은행ㆍ증권 분리 매각

입력 2013-06-26 00:00
업데이트 2013-06-26 1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남·광주은행, 우투증권·아비바생명 내달 매각 공고우리은행·우리카드 내년 1월부터 매각 개시

국내 거대 금융사인 우리금융이 지방은행, 증권 계열, 우리은행 계열 등 3개 부문으로 나눠 매각된다.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신제윤 위원장 신제윤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금융위원회 기자실에서 열린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 관련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이날 “매각절차를 가급적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신제윤 위원장
신제윤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금융위원회 기자실에서 열린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 관련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이날 “매각절차를 가급적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우리투자증권과 우리아비바생명 등 지방은행과 증권 계열은 내달부터 동시에 매각 절차에 들어간다. 우리은행과 우리카드는 내년 1월에 매물로 나온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6일 이런 내용의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추진 방안을 의결했다.

공자위는 일괄 매각 시 조기에 공적자금 회수가 어렵다는 판단 아래 우리금융 14개 자회사를 3개 그룹으로 나눠 예금보험공사와 우리금융이 매각하도록 결정했다.

우리금융 산하 지방은행에 대해서는 부산은행과 대구은행, 전북은행이 매수에 관심이 있다. 우리은행 또는 증권계열의 경우 KB금융, 교보생명 등 대형 금융사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를 배제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외국계 사모펀드 등이 끼어들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우리금융에 12조8천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지난 5월 말 현재 5조7천억원을 회수했다.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은 우리금융을 인적분할하는 방식으로 경남은행지주와 광주은행지주를 만들 방침이다. 이후 각각 경남은행 및 광주은행과 합병해 은행 형태로 매물로 나온다.

은행 형태가 되면 금융지주사 지배 금지 등 엄격한 소유 규제에서 벗어나 매력적인 매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을 각각 파는 것이며 이들 은행을 묶어 매각하는 방안은 배제했다. 정부는 지역적 정서를 고려하기보다 최고가 격 입찰 방식을 통해 특혜 소지를 없앨 방침이다.

공자위는 공적 자금 회수를 극대화하기 위해 예보가 보유한 이들 은행의 지분 전체(56.97%)를 한꺼번에 매각하기로 했다.

내달 지방은행 매각 공고와 동시에 우리투자증권(지분 37.85%), 우리자산운용(100%), 우리아비바생명(51.58%), 우리금융저축은행(100%), 우리F&I(100%), 우리파이낸셜(52.02%) 등 증권 계열 지분 전체도 시장에 나온다. 일단 이들 자회사를 묶어 파는 게 원칙이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 개별 매각하는 것도 정부는 검토하고 있다.

지방은행과 증권 계열의 새 주인이 정해지면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이 합병돼 은행 형태로 바뀐다. 예보는 내년 1월에 우리은행 지분을 매각할 방침이다. 우리카드, 우리PE, 우리FIS, 금호종금,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증권 계열 중 미매각 자회사는 합병 후 우리은행 자회사로서 우리은행과 함께 팔린다.

우리은행 계열 매각은 최소 입찰 규모를 미리 정하지 않고 매각 절차 개시 시점의 시장 상황을 고려해 결정하기로 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은 시장의 요구, 실현 가능성 등에 주안점을 뒀다”면서 “지방은행 계열과 증권 계열은 7월부터 동시 매각을 추진하고 우리은행 계열은 내년 초에 매각을 시작, 그 해에 모든 절차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남상구 공자위 공동위원장은 “이번에 분산 매각 방식은 채택하지 않았으며 지방은행, 증권 계열뿐 아니라 우리은행도 마찬가지”라면서 “구체적으로 말할 순 없지만 관심을 표명한 잠재 인수 대상자도 있기 때문에 매각 전망은 긍정적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