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원전 1호기는
설비용량 67만 9000㎾인 월성원전 1호기는 1983년 4월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고리원전 1호기에 이은 국내 두 번째 원전이지만 중수로형으로 완전히 다른 방식을 택했다. 고리원전 1호기 건설이 한창이던 1973년 4월 캐나다원자력공사(AECL)는 가압중수로형 원자로 방식을 한국에 소개하며 수주 의사를 보였다. 당시 정부는 중수로가 기존 경수로 방식보다 건설비용은 더 들지만 천연우라늄을 사용해 연료 조달이 쉽고 연료 교체 시 원자로를 멈추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중수로형 원전을 택했다. 30년간 평균이용률 86.2%로 1985년 4월 1일부터 1년간은 평균이용률이 98.4%까지 올라가 당시 세계 원전 271기 중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하지만 30년으로 정해진 설계수명에 다가갈수록 말썽을 부리는 일이 잦아지면서 점차 사회적 논란은 가중됐다. 수명이 다한 원전을 더 쓰는 것은 무리라는 목소리와 더 쓸 수 있는 발전소를 왜 폐쇄하느냐는 경제 논리가 맞붙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2005년부터 2010년 중반까지 핵심인 압력관을 비롯해 9000건이 넘는 설비개선을 마쳤다. 소요된 예산만 7000억원이다. 이 과정에서 한수원은 2009년 12월 운전기간을 10년 연장하는 계속운전 신청을 해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심사를 진행해 왔다.
현재는 2012년 11월 설계수명 완료로 가동이 중단된 상황이다. 이후 지난해 10월 공개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검사와 심사, 원안위의 서류심사 등을 통과했지만 부정적인 여론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2011월 3월 후쿠시마 사태 이후 원전의 안전성에 의문을 갖는 사회 전반의 분위기에 불거진 원전 비리, 스트레스테스트 결과에 대한 논란까지 겹치면서 가동 정지 2년여가 지났지만 연장 여부를 결정짓지 못해 왔다.
결국 진통 끝에 26일 계속운전 결정이 나 월성 1호기를 2022년까지 운용할 수 있게 됐지만, 여전히 사회적 논란은 이어질 전망이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5-02-2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