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디폴트 국내금융시장 파장은
그리스 사태가 결국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국내 금융시장은 1일 차분한 모습을 보였다. 설사 최악의 시나리오(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로 치닫더라도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좀 더 우세하지만 ‘외국인 엑소더스(탈출)’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주장이 나온다.그리스 파문이 우리나라에까지 본격 상륙하지 않을 것으로 보는 주된 근거는 ‘미미한 교류’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3월 말 현재 국내 금융사의 그리스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11억 8000만 달러(약 1조 3284억원)다. 그리스가 부도나더라도 우리나라가 떼일 돈은 1조원 남짓이라는 얘기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마저도 전액 수출입은행의 선박금융 대출이어서 설사 돈을 떼이게 돼도 담보(선박)가 있어 어느 정도 회수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리나라 수출에서 그리스가 차지하는 비중도 0.2%에 불과하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그리스와의 교역규모는 올 들어 더욱 감소,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3.1%, 수입은 41.1% 각각 줄었다. 그리스 사태 긴급 점검반을 가동 중인 기획재정부는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신환종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단기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금융시장이 소폭 반등에 성공했지만 그리스 사태가 완전히 해결되기 전까지는 미국 금리 인상, 중국 자산가격 급락, 신흥국 자금유출 등의 재료와 맞물리면서 국내 증시 발목을 잡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리스 부도로 돈줄이 막힌 외국인들이 한국 시장에서 돈을 뺄 수도 있다는 얘기다. 국내 주식시장에 들어와 있는 외국 자본의 30%가 유럽계다. 정재식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도 “5일 그리스 투표 결과에 따라 시장에 한번 더 충격이 있을 것”이라면서 “변동성이 커지면 대외 영향, 특히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 우리 시장도 출렁거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리스 사태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그리스 국가부도의 원인은 수출 경쟁력이나 대외 여건이 좋지 않은 데도 구조조정과 노동시장에 대한 개혁 없이 기득권을 보호하려고 한 데 있다”면서 “공공·노동·교육·금융 등 4대 구조개혁이 지지부진한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점이 크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그리스는 유로존에 가입하기 위해 국가 회계를 조작했고, 독일은 그리스가 재정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데도 유로존 가입을 허용하는 등 문제를 안고 출발했다”며 처음부터 단추를 잘못 끼웠다고 지적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5-07-0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