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디폴트] 스마트폰 쓰며 쓰레기통 뒤져… ‘부유한 넝마주이’ 된 실직자

[그리스 디폴트] 스마트폰 쓰며 쓰레기통 뒤져… ‘부유한 넝마주이’ 된 실직자

박상숙 기자
입력 2015-07-02 00:10
업데이트 2015-07-02 02: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 하층민 늘어난 아테네 거리

그리스 수도 아테네에선 말쑥한 차림새로 쓰레기통을 뒤지는 사람들이 심심찮게 눈에 띈다. 주민들의 사랑방 구실을 했던 커피숍이나 유명 식당의 직원들은 텅빈 테이블을 뒤로 하고 손님을 찾아 거리로 나오기도 한다. 시내 곳곳의 은행은 하루 인출 금액 60유로(약 7만 5000원)보다 더 찾을 수 있을까 싶은 사람들로 문전성시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자본통제가 시행된 이후 일부 은행은 직원들의 출근도 막았다. 은행 내부에 있는 직원들의 모습이 문밖 고객들을 자극할까 우려해서다.

이미지 확대
“내 연금 달라”… 은행 앞 아수라장
“내 연금 달라”… 은행 앞 아수라장 그리스 은행들이 잠정 휴업 상태인 가운데 1일(현지시간) 아테네의 한 은행이 임시로 문을 열자 연금을 찾으려는 퇴직자들이 대거 몰려와 아수라장을 만들고 있다. 지난달 29일 그리스 정부는 국제 채권단과의 구제금융 협상이 최종 결렬되자 뱅크런(대량 예금인출) 우려로 은행 영업중단 조치를 내리고 현금인출기(ATM)에서 하루에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을 60유로로 제한했다. 그러나 ATM 카드가 없는 연금수급자들이 생활에 어려움을 겪자 정부는 이날 은행을 임시로 개장해 120유로(15만원)까지 찾을 수 있게 했다.
아테네 AP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그리스가 국제통화기금(IMF) 채무 상환에 실패해 국가 부도에 처한 지난달 30일 주요 외신들은 “위기는 이제 시작”이라며 그리스 국민의 피폐한 삶과 불안을 보도했다. 텔레그래프는 이날 보통 가정의 보통 사람들이 쓰레기통을 뒤져 먹거리를 찾고 고철 등을 팔아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리스 경제가 붕괴하면서 실업률은 25%까지 치솟았다. 3년 전 건설 노동자로 일하다 실직한 니코스 폴로노스는 ‘부유한 넝마주이’로 표현되는 새로운 부류의 하층민이다. 이들은 노숙자 등 다른 부랑자처럼 보이고 싶지 않아 낡은 옷이지만 말쑥한 차림새다. 과거 직장에서 일할 때 밴 규칙에 따라 하루 8시간 시내 곳곳의 쓰레기통을 뒤진다.

경제위기가 평범한 삶을 어떻게 파괴했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폴로노스는 “내가 이 지경이 될 줄은 정말 몰랐다. 그리스 상황이 이러니 내 건설기술을 요구하는 곳이 없다”며 “많은 친구가 나처럼 살고 있고, 심지어 마약에 빠져 더 형편없이 사는 사람들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구리선, 알루미늄 캔 등을 주워 팔아 하루에 10유로(약 1만 2500원) 정도를 번다.

경제적 추락에도 좋은 옷, 매달 요금이 나가는 스마트폰 등 예전 생활습관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폴로노스와 같은 사람들은 가족, 지인들의 눈을 피해 다른 동네 또는 어두운 밤에 쓰레기를 뒤진다. 텔레그래프는 이들의 정확한 수를 집계하기 어렵지만 2011년 이후 2~3배 늘었다고 전했다.

현금인출 제한에 따라 불안해진 사람들은 외식, 쇼핑 등 씀씀이를 줄여 자영업자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고 있다. 유명 관광지 아크로폴리스 인근 호텔들은 외국인 관광객의 예약 취소 속출로 울상이다. 그리스 정부는 자본통제 조치가 외국인에게 적용되지 않는다고 발표했지만 부정적 소식이 퍼지면서 그리스행을 포기하게 만들었다고 AP 통신이 전했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5-07-02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