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월 기준 매달 1개 통장 1년 뒤 만기 이자·원금 새 통장에…매해 복리·중도인출 자유로워
은행원 김씨는 부인과 함께 매월 하나씩 정기예금 상품에 가입한다. 새로 나온 상품 중에 금리가 높은 1년 만기 상품이 있으면 주저하지 않고 50만원을 넣는다. 2년 전부터 한 번도 빼먹지 않고 저축을 한 덕분에 부부가 가입한 상품 수는 48개나 된다. 이 중 24개는 이미 한 번 만기가 돼 다시 가입한 상품으로 ‘50만원+이자’가 예치돼 있다. 김씨는 “1년이 지나면 매달 만기가 돼 돌아오는데 월급받는 느낌”이라면서 “이 돈을 재예치하면 원금에 이자까지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복리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다”고 말했다.풍차 돌리기는 12개월을 기준으로 매달 통장 1개를 개설하고 1년 뒤 만기가 되면 이자와 원금을 다시 새로운 통장에 넣어 예금을 계속 돌리는 방식이다. 이영아 기업은행 PB과장은 14일 “이자와 원금을 1년마다 재예치하면 해마다 복리 효과가 생기기 때문에 한 통장에 넣어 두는 것보다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지난 7일 국민은행이 내놓은 ‘KB 황금알을 낳는 적금’ 상품이 대표적인 풍차 상품이다. 다음달 우리은행도 풍차 예금(가칭)을 출시할 예정이다. 우리은행 측은 “6개월과 12개월 만기 두 가지 형태로 고안 중”이라고 전했다.
풍차 돌리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정기예금 상품에 가입하는 예금 방식과 적금 상품에 가입하는 적금 방식이다. 예금 방식은 매달 새로운 정기예금 상품에 가입하고 일정 금액을 1년 동안 넣어 두는 건데, 매달 하다 보면 외견상 1년 적금과 다를 게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1년 적금 상품은 매월 돈을 넣어도 기간별로 이자가 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 11개월 차에 입금한 돈에 대해서는 기본 이율의 12분의1만 계산된다. 반면 예금 방식대로 다달이 돈을 넣게 되면 11개월 차에 입금해도 1년 동안 정해진 기본 이율을 모두 받게 된다.
적금 방식도 매달 새로운 상품에 가입하는 건 예금 방식과 같지만 기존 상품에도 매월 같은 돈을 넣는다는 점이 다르다. 첫 달에는 한 상품에 10만원을 넣는데 12개월이 되면 12개 상품에 각각 10만원씩 총 120만원을 넣는 식이다. 예금 방식이 여윳돈을 쓰지 않고 계속 묵혀 둬 목돈을 만드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적금 방식은 빠른 시일 내에 종잣돈을 만드는 게 목표다.
풍차 돌리기 방식의 장점은 적은 돈으로 목돈을 만들고, 매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 외에도 중도 인출이 자유롭다는 점이다. 기존 적금, 정기예금 상품은 일부 금액을 찾아 쓰려고 해도 전체 해지를 해야 되고, 약정한 이율을 받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풍차 돌리기는 여러 개 통장으로 쪼개져 있어 한두 개 통장을 해지해도 크게 손해를 보지 않는다.
다만 풍차 돌리기는 금리가 떨어지는 시기에는 재테크로 적절치 않다. 갈수록 금리가 낮은 상품이 나오기 때문에 매달 통장을 개설하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불리하기 때문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추면서 금리가 떨어지고 있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 등이 가시화되면 국내 금리도 오를 수밖에 없다”면서 “일단 풍차 상품에 가입할 경우 6개월 만기를 선택해 (금리 추이를) 살피는 게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7-1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