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주총 ‘운용사 교체’ 표대결 앞두고 국내 의결권 자문사 서스틴베스트 ‘찬성’
세계 최대 ISS는 ‘반대’ MKAM 손들어줘2002년 설립된 맥쿼리인프라펀드(MKIF)는 국내 12개 인프라 자산을 보유한 데다 SOC에 투자하면서 정부와 최소운영수익보장(MRG) 계약도 맺었다. 그러나 맥쿼리인프라 지분 4.99%를 보유한 국내 플랫폼파트너스자산운용이 지난 6월 “MKAM 운용 보수를 내리고 운용사를 바꿔야 한다”며 코람코자산운용을 대안으로 제시하자 MKAM은 수수료를 기존 10%에서 8%로 낮추면서도 “국내외 유사한 펀드와 보수가 비슷하다”며 반박했다. 엘리엇이나 소버린 등 외국계 헤지펀드가 아닌 국내 업체가 외국계 기업을 공격한 것은 처음이다.
MKAM은 플랫폼파트너스 등이 주식을 빌려 불법적으로 주총 의결권을 취득했다며 의결권 행사 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그러나 법원이 MKAM 손을 들어 줄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일반적으로 주식을 빌리면 유상증자나 배당금 등 금전적 권리는 원소유주에게 있지만 의결권은 주식을 빌린 사람에게 넘어가기 때문이다.
주총 표결을 앞두고 서스틴베스트는 “투자자산의 수익성은 유지되면서 주주 가치는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며 찬성했고 ISS는 “정부와의 협상에서 낮은 보수를 받고 자산 가치를 지켜낼 운용사를 찾을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며 반대했다. 대신기업지배구조연구소 등 다른 국내 자문사들은 권고안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기관투자가들은 의결권 자문사의 찬반 권고를 따를 의무는 없지만 스튜어드십코드(주주권 행사 지침)가 강조되면서 무시하기도 쉽지 않다.
이번 격돌을 계기로 국내에도 주주행동주의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맥쿼리인프라가 투자한 민자도로의 통행료 등 사업 구조는 큰 영향이 없겠지만 기관이 ‘누구의 손을 들어 줬느냐’를 두고 논란이 일 수 있다”면서 “엘리엇 같은 행동주의펀드가 나타날 수 있어 수수료 등의 운영에 긴장감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8-09-0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