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수출도 두 자릿수 감소… 對중국 수출은 급반등

6월 수출도 두 자릿수 감소… 對중국 수출은 급반등

김승훈 기자
입력 2020-07-01 20:56
업데이트 2020-07-02 0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9% 줄었지만 전달보다 감소폭은 둔화
中수출 6개월 만에 플러스…코로나前 회복
정부 “日, 수출규제 응답 없어 WTO 제소”

이미지 확대
수출 증감률 추이
수출 증감률 추이
지난달 수출이 코로나19 여파로 두 자릿수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대(對)중국 수출은 6개월 만에 급반등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6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10.9% 감소한 392억 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월(3.5%) 증가에서 3월(-1.6%) 감소로 돌아선 뒤 4월 -25.5%, 5월 -23.6%에 이어 4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다만 감소폭은 3개월 만에 10%대로 낮아졌다.

감소폭이 둔화된 것은 지난달 조업 일수가 이틀 더 많은 게 컸다. 조업 일수를 배제한 일평균 수출액은 5월 16억 2000만 달러에서 6월 16억 7000만 달러로 소폭 늘었지만,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6월(-18.5%)이 5월(-18.3%)보다 좋지 않다.

품목별 수출도 감소폭이 다소 둔화됐다. 경기 민감 품목인 자동차는 5월 -54.2%에서 6월 -33.2%로, 차 부품은 -66.8%에서 -45.0%로, 섬유는 -43.6%에서 -22.3%로 각각 둔화됐다.

지역별로 보면 대중국 수출이 6월 9.5%를 기록하며 6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대중국 수출은 지난해 12월 3.3% 이후 5개월(1월 -11.0%, 2월 -7.4%, 3월 -6.9%, 4월 -18.2%, 5월 -2.4%) 연속 마이너스였다. 산업부 관계자는 “대중 수출 규모는 이제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됐다”며 “중국의 투자·소비·생산 등이 지난 2~3월 최저점을 기록한 이래 시차를 두고 회복되고 있고, 중국 정부의 부양정책 추진과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확대에 따른 관련 제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나승식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일본의 한국 수출 규제와 관련해 “일본과 지속적인 대화를 희망하지만 아직 뚜렷한 대화 요청이 없다”며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절차를 일정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07-02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