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S4, 아몰레드·LCD 투트랙 전략

갤S4, 아몰레드·LCD 투트랙 전략

입력 2012-11-27 00:00
업데이트 2012-11-27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 풀HD 아몰레드 구현못해 내년초까지 개발 완료 미지수

삼성전자가 내년 초 공개를 목표로 준비 중인 ‘갤럭시S4’의 디스플레이로 아몰레드(AMOLED·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와 액정표시장치(LCD)를 동시에 준비하고 있다. 새해 스마트폰 업계의 최대 이슈가 될 풀고화질(HD) 해상도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아몰레드가 아닌 광시야각(IPS) LC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갤럭시S4가 나올 수도 있어 관심이 모아진다.
이미지 확대


26일 디스플레이업계 핵심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용 풀HD LCD 디스플레이를 공급받기 위해 일본업체인 재팬디스플레이(JDI), 샤프 등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몰레드는 사실상 삼성이 만들어 낸 시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10년 아몰레드를 탑재한 ‘갤럭시S’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아몰레드는 LCD를 이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4에도 아몰레드 탑재를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풀HD 해상도 구현이 쉽지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업계에서는 내년이 ‘풀HD 스마트폰의 원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HTC는 이미 세계 최초로 풀HD 스마트폰을 선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직 삼성전자가 요구하는 적·녹·청(R·G·B) 방식(디스플레이 픽셀 하나하나에 적·녹·청 화소를 모두 주입해 화면 구현)의 아몰레드 개발 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RGB 방식의 풀HD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완성하지 못할 경우를 감안해 ‘플랜B’(대안) 차원에서 LCD 디스플레이도 준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삼성전자는 ▲펜타일 방식(눈에 민감도가 덜한 적·청 화소를 줄여서 생산)의 풀HD 아몰레드 탑재 ▲샤프 혹은 JDI로부터 풀HD IPS LCD 공급받아 탑재 ▲삼성의 독자 기술인 PLS 방식의 LCD 탑재 등의 대안을 마련해둔 상태다. 이 가운데 어떤 방식으로든 곧바로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풀HD LCD 디스플레이를 양산할 수 있는 곳은 LG디스플레이와 샤프, 히타치(JDI 소속) 등 세 곳뿐이다. 삼성과 LG는 전통적으로 부품 공유를 하지 않는 만큼, ‘LCD 갤럭시S4’가 나올 경우 일본 업체가 삼성의 패널 공급 파트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샤프는 최근 TV 패널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협력을 강화하며 관계를 돈독히 다져가고 있다.

갤럭시S4에 LCD 패널이 탑재된다면 하반기 출시 예정인 ‘갤럭시노트3’에도 같은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두 제품의 출시 주기가 짧게는 3~4개월 정도에 불과해 새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시간적 간격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갤럭시S4를 내년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첫선을 보이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삼성 고위 관계자는 “1월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국제전자제품전시회’(CES)는 TV 등 가전 제품이 중심이 되는 행사인 데다, 1월에 새 제품을 공개하면 현재 글로벌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는 ‘갤럭시노트2’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갤럭시S2를 지난해 MWC에서 발표했고, 갤럭시S3는 지난 5월 영국 런던에서 처음 공개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11-27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