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에 ‘선불·동승요금제’ 나온다…‘앱 미터기’ 도입 스타트

택시에 ‘선불·동승요금제’ 나온다…‘앱 미터기’ 도입 스타트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7-24 14:37
업데이트 2020-07-24 1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중형택시 최초 ‘앱미터기’ 도입한 카카오모빌리티

11일 오후 4시부터 서울 도심에서 시험 서비스에 나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 T 벤티’. 카카오모빌리티 제공
11일 오후 4시부터 서울 도심에서 시험 서비스에 나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 T 벤티’.
카카오모빌리티 제공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사 서비스에 ‘앱 미터기’를 도입한다. 국내 중형택시에 앱 미터기가 도입되는 것은 처음이다. 샌드박스를 통해 관련 규제가 유예됨에 따라 모빌리티 업계에 ‘앱 미터기 열풍’이 불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4일 카카오T블루에 앱 미터기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6월 마련된 국토교통부의 ‘앱 미터기 임시검정 기준안’을 1호로 통과해 앱 미터기 사업을 위한 자격을 갖췄다.

앱 미터기는 위성항법장치(GPS) 기반으로 시간, 거리, 속도를 계산해 택시 요금을 산정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기계식 미터기는 요금제를 변경할 때 수동으로 기기를 조정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앱 미터기를 사용하게 되면 소프트웨어를 통해 요금제가 제어됨으로 물리적 조정 없이 변경이 가능하다. 탄력 요금제, 선불요금제, 동승요금제를 비롯한 다양한 요금제 서비스를 내놓을 때도 용이한 측면이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앱을 통해 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할증 비용도 앱에서 자동으로 계산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달 30일 ‘GPS 기반 앱 미터기’를 규제샌드박스 사업으로 지정함에 따라 모빌리티 업계는 앞다퉈 앱 미터기를 도입하고 있다. KST모빌티는 자사 가맹형 플랫폼택시인 ‘마카롱택시’ 500대에 앱미터기를 설치해 동승요금제, 선불요금제 등을 실험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일단 가맹형 택시인 카카오T블루 차량 10대 규모로 시작해 적용 차량 범위를 점차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