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최저임금 의견조사’
최저임금 인하 응답 2.8→22.2%

최저임금위원회 사용자위원인 류기정(왼쪽)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와 근로자위원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이 지난달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제2차 전원회의에서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세종 연합뉴스
중소기업 3곳 중 2곳이 내년 최저임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해야 한다고 답한 설문 결과가 나왔다.
1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117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저임금 설문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66.0%는 내년 최저임금을 동결 또는 인하해야 한다고 답했다. 동결이 43.8%, 인하가 22.2%였다. 뒤이어 ‘2~3% 이내 인상’ 15.8%, ‘1% 내외 인상’ 11.5% 순이었다.
최저임금을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은 지난해 조사(2.8%)보다 8배가량 높아졌다. 내수 부진이 계속되자 한계 상황에 처한 중소기업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종사자 10인 미만 기업 중 73.0%가 내년 최저임금을 동결, 인하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어려움이 큰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 64.1%는 경영 상황이 지난해보다 악화했다고 답했다. 경영 환경을 악화하는 요인으로 54.0%가 ‘최저임금 인상’을 꼽았다. ‘사회보험료 인상’(37.6%), ‘구인난’(29.7%)이 뒤를 이었다.
최저임금이 감내하기 어려울 정도로 인상되면 중소기업 23.2%가 기존 인력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대응 방안으로 ‘신규 채용 축소’(22.6%), ‘임금 동결·삭감’(22.1%)을 선택한 곳도 많았다. 기존 인력을 줄이겠다는 응답 비율은 지난해 6.8%에서 올해 23.2%로 16.4% 포인트 높아졌다.
중소기업 3곳 중 1곳(33.2%)이 가장 시급한 최저임금제도 개선사항으로 ‘일부 취약 업종에 대한 차등적용’을 골랐다. 31.8%는 최저임금 결정 주기를 1년에서 2년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