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1100원대에도… 서학개미 ‘베팅’ 늘었다

환율 1100원대에도… 서학개미 ‘베팅’ 늘었다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11-15 22:08
업데이트 2020-11-16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대비 5.8%↑… “추가 상승 기대감”
바이든 승리 후 美中 전기차 주식 대거 사

최근 원·달러 환율이 1110원대까지 떨어졌음에도 ‘서학개미’로 불리는 해외주식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국내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주식 보관 잔액은 373억 달러로 지난달 말 대비 5.8%(22억 달러) 증가했다. 미국 주식 잔액은 같은 기간 264억 달러에서 281억 달러로 6.2% 늘었다. 같은 기간 원·달러 환율은 1133.4원에서 1113.2원으로 20원 가까이 하락했다.

특히 미국 대선이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승리로 끝난 지난 일주일(11월 9∼13일) 동안 투자자들은 중국과 미국 증시에서 전기차 업체의 주식을 대거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샤오펑(3109만 달러)이었고, 화이자(3629만 달러), 테슬라(3106만 달러) 순이었다.

유승민 삼성증권 글로벌 투자전략팀장은 “해외 투자에서 환율 변동에 따른 손해나 이익보다는 기업 성장에 대한 기대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여기에 달러 약세 환경은 대체적으로 세계 경제가 회복되는 국면에 조성된다. 위험 자산인 주식은 달러 약세 구간에서 오른다는 기대도 반영된다”고 말했다.

다만 앞으로 원·달러 환율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테슬라 등 대형 정보기술(IT) 종목 위주로 일부 주가가 빠지는 것도 투자자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 주가는 지난달 초와 비교해 7% 정도 하락했다. 올해 국내 투자자의 해외주식 순매수 금액은 총 159억 6235만 달러다.

가장 많은 순매수가 이뤄졌던 올 7월(31억 9148만 달러)과 비교하면 원·달러 환율은 1200원에서 1110원으로 90원 정도 떨어졌다. 환율 약세로 부담을 느낀 투자자들이 국내로 다시 눈을 돌릴 가능성도 있다.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 상승 모멘텀의 둔화, 원·달러 환율 하락에 따른 실질 수익 감소 등으로 해외에 투자하는 개인들의 고민이 많아지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11-16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