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맹자와 현대 동북아의 민주주의/고토 노부유키 홍익대 교양외국어학부 교수

[글로벌 시대] 맹자와 현대 동북아의 민주주의/고토 노부유키 홍익대 교양외국어학부 교수

입력 2011-08-29 00:00
업데이트 2011-08-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고토 노부유키 홍익대 교양외국어학부 교수
고토 노부유키 홍익대 교양외국어학부 교수
일본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유교가 문화와 사상의 원천이었다. 그러나 양국의 유교 문화 사이에는 여러 가지 차이가 있다. 그 핵심적인 차이는 어디에 있을까? 일본의 저명한 동양학자인 가이즈카 시게키의 견해를 참고로 해서 이 점으로부터 논의하기로 한다.

중국 명나라 때 당시 해상무역에 종사했던 사람들 사이에는 맹자를 싣고 일본으로 가는 배는 바다에서 난파된다고 하는 속설이 확산되어 있었다고 한다. 문헌에서는 명나라 말기에 나온 사조제(謝肇?)의 수필 오잡저(五?俎)에 언급되어 있다. 또 일본 에도 시대의 작가 우에다 아키나리는 우게쓰 모노가타리(雨月物語)에 등장하는 인물을 통해 대략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12세기 배경).

‘주 나라의 무왕이 은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천하통일을 한 사건은 신하의 군주에 대한 하극상으로 간주해서는 아니된다. 인의(仁義)를 상실한 주왕은 더 이상 군주가 아니기 때문에 무왕은 폭군으로 전락한 주왕을 쳤다고 하는 내용이 맹자에 적혀 있다고 한다. 따라서 유명한 중국서적임에도 불구하고 맹자만은 아직도 일본으로 건너오지 않았다. 맹자를 싣고 오는 배는 반드시 폭풍에 당하고 침몰해 버리기 때문이다. 왜 그렇게 되는가 하면, 일본은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御神)의 천지개벽 이후 한번도 끊기지 않은 황통이 상속되어 왔는데, 맹자처럼 건방진 사상이 전해 오면 후세에 하나님의 후예인 천황을 죽여도 죄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 해악이 일어날 우려가 있어서, 팔백만신(八百万之神)이 맹자를 싫어해서 가미카제(神風)를 일으켜 배를 전복시켜 버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글에서 인용되고 있는 맹자의 말씀은 이른바 ‘역성혁명’(易姓革命)으로 알려진 내용이며, 민위귀(民?貴), 사직차지(社稷次之), 군위경(君??) 즉 사람이 가장 귀하며 사직은 다음이며 군주를 가장 가벼운 것으로 한다고 하는 문장으로 알려진, 이른바 민본주의와 더불어 생각하면 백성은 전제정치에 반대하고 혁명을 수행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선언한 민주주의적 정치사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맹자사상이 일본이라는 나라에는 맞지 않는다고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는 9세기에 맹자가 일본에 전해졌지만, 옛날부터 역성혁명에 대한 부분만은 가르치지 않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토 히로부미를 비롯해서 에도 막부 타도와 메이지 정부수립에 공헌한 인물들을 육성함으로써 메이지 유신의 정신적 지도자로 알려져 있는 요시다 쇼인도 역시 맹자를 애독하면서도 역성혁명은 일본의 정치체제에 맞지 않다고 해서 외면했다.

이처럼 일본의 맹자 인식은 한국의 유교와는 분명히 다르다. 한국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권교체가 이루어질 때 역성혁명에 근거했다고 하는 사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역성혁명이란 정치적 변혁이나 반란을 정당화하는 호칭으로 계속 사용되어 왔다.

한편 일본에서는, 예를 들면 메이지 정부의 입장에서 볼 때 메이지유신을 역성혁명이라고 본다면 곤란할 것이다. 왜냐하면 역성혁명 사상에서는 장래 정치지도부가 부패하거나 포학을 실시했을 경우 혁명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항상 열려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일본 사회는 아시아적 민주주의 사상의 기원인 맹자의 역성혁명론을 배우지 않았다. 일본인은 ‘민주주의’를 유교, 즉 맹자에게서가 아니라 메이지 유신 이후에 탈아입구(脫亞入歐)의 시대 흐름에 따라서, 또 제2차 세계대전 패전 후 민주화 시대에 구미로부터 배웠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일본에서는 시대의 슬로건이 메이지 유신 이래의 ‘탈아입구’에서 ‘탈구입아(脫歐入亞)’로 전환된 듯하다. 그렇다면 일본인은 탈구입아를 맹자의 사상으로 다시 시작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맹자는 현재 북한 지도부에 대해 2000년의 오랜 시간을 뛰어넘어 강력한 질타의 말을 계속 발신하고 있다.
2011-08-29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