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후] ‘경복궁 옆 박물관’이 아니라

[마감 후] ‘경복궁 옆 박물관’이 아니라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5-04-24 01:02
수정 2025-04-24 02: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6·3 대선을 앞두고 충청권 표심을 잡기 위해 다시 대통령 집무실, 국회의사당의 ‘세종 이전’ 화두가 뜨거워지고 있다. 박물관 중에서도 세종 이전으로 떠들썩한 곳이 있는데 바로 ‘경복궁 옆 박물관’인 국립민속박물관이다.

2031년 세종 개관을 목표로 하는 민속박물관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박물관으로 민속생활사 자료의 수집, 보존, 전시, 연구 등을 담당하는 곳이다. 지난해 민속박물관의 관람객은 144만 3000명으로 최근 미술 매체인 ‘아트 뉴스페이퍼’가 세계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의 관람객 수를 조사해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51위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관람객이 다녀갔다.

급변하는 문화 환경 속에서 민속박물관이 이런 인기를 유지한 데에는 박물관의 위치가 큰 역할을 했다. 지난 8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장상훈 박물관장 역시 경복궁에 근접해 있다는 게 관람객 성과에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을 인정했다.

하지만 민속박물관이 세종으로 이전한다면 더는 경복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물론 세종에서도 국가기록박물관, 디지털문화유산센터, 어린이박물관 등과 함께 국립박물관단지에 들어설 예정이지만, 민속박물관은 어디에 ‘가는 김에’ 찾는 곳이 아니라 관람객이 일부러 찾아오는 공간이 돼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장 관장은 일각의 우려에 “수도권에 없는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공간으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해당 콘텐츠는 ‘세계 문화’ 속에서 찾겠다는 복안이다. 그는 “민속박물관의 업무 범위가 과거 ‘민족 고유의 생활방식’에서 ‘세계 각국의 생활양식 풍속 및 관습’으로 바뀌었지만, 20년 가까이 구현되지 못했다”며 “세계 주요 국립 박물관 중에 세계 민속을 다루지 않는 곳은 드물다”고 밝혔다.

민속박물관의 이런 움직임은 이미 시작됐다. 실제로 뱀띠 해를 기념해 올해 초 열린 ‘만사형통’ 특별전에서는 한국의 자료뿐 아니라 전 세계의 민속문화 속에서 찾은 뱀 관련 자료 60여점을 선보였다.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의 뱀과 관련한 유물뿐 아니라 아프리카 바가족의 신줏단지, 스리랑카 지역의 뱀이 조각된 가면, 멕시코 아즈텍 문명의 캘린더 스톤 등 각국의 뱀 관련 민속 유물을 선보였다. 각기 다른 문화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뱀에 대한 인간의 양가적인 감정을 유물로 남겼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늘 한류 열풍을 이야기하면서 우리나라 가수가 빌보드 차트에 얼마나 오래 높이 머물렀는지, 우리 콘텐츠를 보고 세계인이 우리 의식주, 놀이 문화를 어떻게 소화하는지 등에만 관심을 가져왔다. 정작 우리 문화에 환호를 보내고 직접 찾아와 주기까지 한 그들의 문화를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민속박물관이 세종 이전을 기회로 경복궁에 간 김에 들르는 박물관이 아니라 인류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는 ‘세계로 열린 창’으로 역할 하기를 고대한다.

윤수경 문화체육부 기자(차장급)

이미지 확대
윤수경 문화체육부 기자(차장급)
윤수경 문화체육부 기자(차장급)
2025-04-24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