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트 몬드리안, ‘베스트카펠르의 등대’, 1910년
캔버스에 유채, 39×29㎝, 무세오 델 노베첸토, 이탈리아 밀라노
캔버스에 유채, 39×29㎝, 무세오 델 노베첸토, 이탈리아 밀라노
이미혜 미술평론가
몬드리안은 급진적 신앙에 빠진 내성적인 젊은이로 성장했다. 아방가르드 미술의 혁신성에 대해서도 반대했다. 서른 살이 넘자 몬드리안은 미술애호가의 마음에 드는 그림을 그려야겠다고 생각했다. 북해 연안의 시골 마을을 다니면서 풍차, 등대, 모래언덕 같은 네덜란드 미술의 전통적인 소재를 묘사했다. 표현주의와 점묘파에 한 발씩 걸친 이 시기의 그림은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1909년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어머니의 죽음은 몬드리안의 마음에 그늘을 드리웠다. 1910년쯤을 끝으로 그의 작품에서는 경쾌하고 화려한 울림이 사라졌다. 어렵게 얻은 대중의 지지도 사라졌다.
1911년 마흔 살 생일을 앞두고 몬드리안은 파리로 떠났다. 큐비즘이 파리 화단을 뒤흔들고 있었다. 하지만 큐비즘 화가들은 순수추상 직전에서 멈춰 섰다. 그 뒤의 무한한 심연이 두려웠을까. 몬드리안은 그 문턱을 넘어 미지의 영역으로 뛰어들었다. 파리 시대부터 그는 아버지가 지어준 긴 이름을 버리고 피트라고 서명했다. 불행했던 과거의 흔적도 없앴다. 그리하여 독신으로 살며 학문을 연구하듯이 그림을 그리고 이론서를 집필했던 몬드리안만이 일체의 감정이 배제된 그림과 함께 남았다.
미술평론가
2020-03-11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