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기자 성추행한 최재호 검사 엄벌하라

[사설] 여기자 성추행한 최재호 검사 엄벌하라

입력 2012-03-31 00:00
수정 2012-03-31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직 부장검사 짓이라고는 도저히 믿기지 않는 여기자 성추행 사건이 벌어졌다. 최재호 서울 남부지검 부장검사가 출입기자와의 저녁자리에서 여기자들의 몸을 더듬고 귀엣말로 “집이 어디냐. 함께 나가자.”고 하는 등 입에 담기조차 민망한 추태를 부렸다. 검찰은 이런 최 검사를 지방으로 발령냈다. 하지만 좌천성 지방 발령으로 매듭지을 문제는 아니다.

최 검사의 이번 일은 명백한 범죄행위다. 죄질 또한 가볍지 않다. 최 검사는 성추행에 항의하던 여기자가 자리를 피하자, 다른 여기자한테 다가가 “예전에 알던 여자와 닮았다.”며 얼굴을 만지고 허벅지에 다리를 올려 놓는 등 낯 뜨거운 언행을 서슴지 않았다고 한다. 술에 취해 기억이 안 나지만 죄송하게 됐다는 최 검사의 해명은 그래서 뻔뻔하게 들린다. 성범죄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어느 때보다 높은 요즘, 최소한의 도덕관조차 갖추지 못한 이런 사람이 남을 단죄할 자격이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 최 검사의 일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검찰 전체의 도덕성과 연결되는 문제다. 피해 여기자들은 소송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최 검사는 자신의 행위에 상응하는 민·형사상 처벌을 받아야 한다.

실상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검사의 성추행은 심심치 않게 발생했던 게 사실이다. 그때마다 환부를 도려내기보다는 솜방망이 징계로 일관한 관행이 화를 키웠다고 본다. 비록 좌천성이라고는 하나 최 검사를 지방 고검으로 보낸 것은 잘한 일이 아니다. 검찰 내부에서는 통렬한 반성 대신 “재수없게 걸렸다.”고 수군댈지도 모른다. 그것이 아니라면 지방으로 보낼 것이 아니라, 즉각적인 진상조사로 시시비비를 분명히 가린 뒤 합당한 조치를 취했어야 마땅했다. 검찰이 개혁 대상 1순위에 오른 지는 오래다. 우리는 검찰이 이번 사건을 어떻게 마무리하는지 끝까지 지켜 볼 것이다.

2012-03-3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5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4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