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마시멜로 실험 1·2·3/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마시멜로 실험 1·2·3/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5-07-24 17:40
수정 2015-07-24 18: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제력이 뛰어난 아이가 성공한다는 ‘마시멜로 실험’이 있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자 미셸은 1966년 네 살인 꼬마 653명에게 눈앞에 마시멜로를 놓아 주고서 먹지 않으면 두 배의 보상을 하기로 약속한 실험을 했다. 15년 뒤 그 꼬마들을 추적했다.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두 배의 보상을 추구한 꼬마들이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는 실험 결과를 1981년 내놓았다.

여기가 끝이 아니다. ‘마시멜로 실험’은 두 개가 더 있다. 미셸은 1989년 눈앞의 마시멜로에 뚜껑을 덮어 주거나, 또는 꼬마에게 재미난 생각을 하라고 제안한 뒤 실험했다. 꼬마들은 첫 번째 실험보다 더 높은 자제력을 보였다. 특히 재미난 생각을 하라는 조언을 받은 꼬마들은 평균 13분 동안 먹는 것을 자제했다. 욕망을 자제하라 하지 말고, 욕망에 방어벽을 치는 효과적 방법을 알려 주면 좋다는 뜻이다.

사회와 연결된 마시멜로 실험은 2012년 록펠러 대학에서 이뤄졌다. 신뢰 환경과 비신뢰 환경으로 나눴다. 신뢰를 경험한 꼬마들은 놀라운 자제력을 보였다. 믿음이 있는 사회에서는 인간의 자제력이 더 강해진다는 말이다. 신뢰는 그래서 중요하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7-2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4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