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분위기 메이커/주병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분위기 메이커/주병철 논설위원

주병철 기자
입력 2015-11-13 17:10
수정 2015-11-14 0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얼마 전 한 세미나에 토론자로 나갔는데, 시작 전에 참석자들끼리 점심을 같이 먹게 됐다. 일본 사람이 절반쯤 됐다. 명함을 주고받는 분위기가 약간은 어색한 듯했다. 근데 세미나의 좌장을 맡은 분이 온 뒤부터는 경직된 분위기가 슬슬 풀렸다. 이분은 좀 늦게 오는 바람에 맨 나중에 자기소개를 했다. “이렇게 찾기 어려운 곳인 줄 알았으면 ‘어제’ 와 있었을 텐데…”라며 능청을 떨었다. 살짝 웃는다. 이어 누군가 ‘식사’(食事)를 하자는 말에 “밥 먹으면 죽잖아요”(食死)라고 조크했다. 또 웃어넘긴다. 근데 여기서 끝내질 않는다.

“중국, 일본, 한국 요리의 차이점이 뭔 줄 아세요”라고 묻는다. 시선이 쏠리자 답한다. “중국 요리 솜씨는 불끝에, 일본은 칼끝에, 한국은 손끝에 달렸지요. 불맛, 칼맛, 손맛이란 얘깁니다.” 그런 것 같기도 하다는 표정들이다. 처음엔 실없다고 여기던 참석자들의 얼굴이 확 펴진다. 그런 유머와 익살은 세미나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됐다. 간혹 진지함을 양념으로 넣기도 했다. 천부적인 재능인지는 몰라도 노력 없이 될 수 없는 내공이 숨어 있었다. 그의 맛깔스런 언어 구사와 익살이 부러움을 넘어 존경스럽기까지 했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5-11-1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