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서 빙하 발견…”몸은 늙었으나 피부는 젊다”

명왕성서 빙하 발견…”몸은 늙었으나 피부는 젊다”

입력 2015-07-25 10:33
수정 2015-07-25 1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명왕성에서 빙하를 발견했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

NASA는 이날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명왕성 탐사선 뉴호라이즌스가 보내온 사진과 데이터를 추가로 공개했다. 이 기자회견은 인터넷으로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명왕성에서 발견된 빙하. / 미국 항공우주국(NASA)
명왕성에서 발견된 빙하. / 미국 항공우주국(NASA)
이날 NASA가 공개한 사진에는 뉴호라이즌스에 실린 관측기구 중 하나인 ‘장거리 정찰 이미저’(LORRI)로 찍은 명왕성 표면의 고해상도 사진이 포함돼 있다.

여기서는 판 형태로 형성된 얼음이 명왕성의 표면에서 흘러서 움직인 흔적이 발견됐다.

빙하가 발견된 지역은 명왕성의 하트 모양 지형 ‘톰보 지역’ 내 서쪽에 있는 미국 텍사스 주 크기의 얼음 평지인 ‘스푸트니크 평원’ 내에 있다.

이는 이 지역에서 비교적 최근에 지질학적 활동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명왕성 자체는 꽤 나이를 먹었지만 ‘피부’는 젊다는 뜻이다.

이 빙하는 지금도 움직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NASA는 설명했다.

뉴호라이즌스 탐사 계획에 연구원으로 참여하는 사우스웨스트 연구소의 존 스펜서 박사는 이런 빙하는 지구나 화성처럼 지질 활동이 활발한 세계들에서만 발견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명왕성 표면에는 질소(N₂), 일산화탄소(CO), 메탄 등이 섞인 얼음이 풍부한데, 섭씨 영하 230도 수준인 명왕성 표면의 환경에서는 이런 얼음들이 빙하처럼 흘러 움직일 수 있다고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소재 워싱턴 대학교의 빌 매키넌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뉴호라이즌스 지질·지구물리·이미징 팀의 부팀장이다.

매키넌 교수는 톰보 지역의 남쪽 끝 부분에서 새로 생긴 빙하가 지질학적으로 오래된 ‘크훌후 지역’을 북쪽으로부터 침식하면서 파고들어가는 모습이 보인다고 그는 설명했다.

크훌후 지역은 크레이터가 많이 있어 형성된 지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즉 곰보 자국이 있는 명왕성의 헌 피부가 새 피부로 거듭나는 모습인 셈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