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여행금지에 中여행사들도 ‘피해’…고객감소로 수익감소 불가피

韓여행금지에 中여행사들도 ‘피해’…고객감소로 수익감소 불가피

입력 2017-03-03 14:01
업데이트 2017-03-03 14: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벽돌로 한국차 부수는 폭력행위에 질린 한국인들도 中관광 꺼릴듯

중국 국가여유국이 한국 여행상품 판매를 전면 금지토록 지시한 것과 관련해 자국 여행사들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3일 베이징 소식통 등에 따르면 국가여유국은 전날 베이징(北京)에서 여행사 관계자들을 소집한 회의를 통해 구체적으로 15일부터 단체 및 개인의 한국 여행상품 판매를 금지하라고 구두 지시했고, 이는 전체 외국 여행객 중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가 46.8%를 차지하는 한국 여행업계에 큰 타격이 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로인해 중국 여행업체들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한국을 찾은 중국인 단체 및 개인 여행객 수는 806만여명으로, 중국 해외 여행객 수의 10여%를 차지하는데 이들이 사라지면 중국 여행업체들도 그 ‘대체재’를 찾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중국 내 대형 여행사이트인 씨트립에 따르면 올해 춘제 기간 중국인이 찾은 해외 여행지 순위에서도 한국은 태국, 일본에 이어 3위를 기록할 정도로 인기 여행지라는 점에서 중국 여행업체들의 수익 감소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얘기다.

이들 중국 여행사가 한국을 대체할 여행지로 동남아, 일본, 홍콩, 마카오 등을 모색하겠지만 갑작스럽게 내려진 조치로 대체지를 찾기를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는 별도로 중국 내에서 사드보복을 이유로 반한감정이 높아지고, 한국차를 벽돌로 부수는 폭력행위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한국 여행객들이 중국가기를 꺼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중국을 찾은 한국 관광객 수는 400만여명에 달했다.

중국 여행업계 관계자는 “여행사를 통한 한국 여행상품 판매 전면 금지는 유례없는 강한 제재”라며 “이번 조치가 실행된다면 한국 여행업계에 끼치는 손해가 물론 크겠지만, 중국 여행업계도 일정 부분 손해를 입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 여행사들이 일본, 동남아 등 대체재를 얼마나 적기에 마련할지에 따라 손해 규모는 변동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조처는 양국 모두에 손해가 될 뿐”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