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를 걷는 이란 여성들=EPA 연합뉴스
알자지라 등은 8일 “미국의 제재로 여성들의 임금은 추락했고 여성용품 값은 폭등했다”면서 “저소득층 여성이 큰 위험에 처했다”고 진단했다.
파테메(27)는 수도 테헤란의 한 학교에서 생물학을 가르치고 있다. 지난 5월 미국이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를 파기한 이후 이란 통화가 평가절하하면서 그의 실질적 월급은 곤두박질치기 시작했다. 현재 그의 임금은 합의 파기 전 5분의 1 수준이다. 그는 “돈을 아무리 많이 벌어도 소용이 없다”고 호소했다.
수입에 의존했던 생리대 등 여성용품은 구할 길이 없다. 일부 여성들은 코텍스 등 제재 전 자신이 쓰던 수입 생리대를 구하려고 약국을 전전했지만 끝내 사지 못했다. 이란산 생리대 가격마저 제재 전보다 60% 비싸졌다. 그나마 원료의 일부를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다. 제재가 장기화하면 이란산 생리대 생산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민간단체 국제위기감시기구(ICG)의 아자데 모아베니 성(性) 컨설턴트는 “시간이 지나면서 제재는 결국 중산층을 가난하게 만들 것이다. 사실 대이란 제재는 그렇게 하도록 고안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여성인권단체 페메나의 수산 타흐마세비 국장은 “미국이 평범한 이란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고, 특정한 약품에 접근할 수 없게 했으며, 공중보건에 대한 우려를 촉발했다”면서 “미국은 ‘의약품은 제재하지 않았고 인도적 막지 않았다’고 말한다. 아니다. 그들은 모조리 금지했다”고 주장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