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마이클 조던 대타” 데니스 로드먼, 김정은과 술자리 회상

“난 마이클 조던 대타” 데니스 로드먼, 김정은과 술자리 회상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0-05-14 12:56
업데이트 2020-05-14 13: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3년 방북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함께한 데니스 로드먼.  연합뉴스
2013년 방북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함께한 데니스 로드먼.
연합뉴스
NBA 농구 스타 출신 데니스 로드먼(59)이 북한을 처음 방문했을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술자리를 함께한 때를 회상하며 “난 마이클 조던 대타였다”고 말했다.

13일(현지시각)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데니스 로드먼은 지난주 헤비급 복싱 세계챔피언 출신인 마이크 타이슨이 진행하는 인터넷 방송 ‘핫복싱(HotBoxin)’에 출연해 당시 이야기를 전했다.

로드먼은 2013년 방북 당시를 회상하며 “사인회나 농구 경기 정도만 할 것으로 생각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몰랐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농구 경기 후 로드먼에게 “우리나라를 좋아하느냐”라고 로드먼에게 물었고, 이에 로드먼은 “그렇다. 멋있다”고 답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원래 마이클 조던을 초청했는데 안 온다고 해서 당신을 초청했다”고 답했다고 로드먼은 설명했다.
2013년 방북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함께한 데니스 로드먼.  트위터 캡처
2013년 방북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함께한 데니스 로드먼.
트위터 캡처
김정은과의 만남에서 농구에 대해 애정을 주고받으면서 친해졌고, 그날 저녁 집으로 초대했다고 전했다.

당시 연회장에는 18인조 여성 밴드가 나와 1978년 TV쇼인 ‘댈러스’의 주제곡을 연주했다는 설명이다. 당시 그의 요청으로 다음번 방북 때는 해당 밴드가 펄 잼이나 반 헤일런, 롤링스톤스 등의 곡을 연습해 공연해줬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로드먼은 김정은과 정치적인 대화는 하지 않았다고 했다.

로드먼은 “파티에서 내가 아는 것은 우리가 저녁을 먹고, 만취했으며, 그(김정은)는 노래를 시작했다. 나는 그가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 길이 없었다”고 말했다.

로드먼은 이후에도 여러 차례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과 우정을 쌓았다. 마지막 방문은 2017년이다.

한편, 최근 제기된 김정은의 건강 이상설에 대해 로드먼은 언론에 “내 오랜 친구가 무사할 것이라 믿었다”며 “그는 대다수의 미국인들처럼 조던의 다큐멘터리 ‘라스트 댄스’를 보고 있을 것”으로 추측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