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BTS와 블랙핑크 줄줄이 패션 홍보대사로, 명품 시장의 ‘별’이 된 한국

BTS와 블랙핑크 줄줄이 패션 홍보대사로, 명품 시장의 ‘별’이 된 한국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2-01 04:57
업데이트 2023-02-02 06: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방탄소년단 지민. 디올 제공
방탄소년단 지민.
디올 제공
이미지 확대
지난 16일 블랙핑크의 제니가 생일 선물을 제공한 샤넬 코리아에 고맙다는 뜻을 전한 사진들. 인스타그램 캡처
지난 16일 블랙핑크의 제니가 생일 선물을 제공한 샤넬 코리아에 고맙다는 뜻을 전한 사진들.
인스타그램 캡처
유럽 명품 브랜드들이 방탄소년단(BTS)의 지민(디오르)·슈가(발렌티노), 블랙핑크의 지수(디오르)·제니(샤넬)·로제(생로랑)·리사(셀린) 등 케이팝 스타들과 협업을 확대하는 것은 명품 시장에서 한국이 ‘별’처럼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라는 현지 매체의 분석이 나왔다.

전국지 ‘일 솔레 24 오레’는 지난 29일(현지시간) ‘명품이 한국으로 향한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명품 시장의 ‘큰손’으로 떠오른 한국 시장을 주목해 눈길을 끈다. 이 매체는 최근 공개된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명품 소비 분석 보고서를 토대로 지난해 한국이 글로벌 명품 시장에서 ‘별’처럼 빛났다고 소개했다.

모건스탠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지난해 일인당 명품 소비액은 325달러(약 40만 4000원)로, 미국의 280달러(34만 8000원)나 중국의 55달러(6만 8000원) 등을 따돌리고 세계 1위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매체는 한국의 명품 사랑이 새로운 현상은 아니라며 명품 브랜드들이 오래 전부터 한국 시장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최근 일년 동안 투자를 확대했다고 소개했다. 현재 한국이 명품 소비와 관련해 세계에서 가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 중 하나로 꼽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 매체의 설명이다.

명품 브랜드들이 케이팝 스타를 자사 브랜드 홍보대사로 임명하는 것 외에도 최근 한국에서 레스토랑을 잇달아 선보이며 브랜드 영향력을 키우고 있는 것도 주목했다.

지난해 이탈리아의 한국 수출 성과를 보면 이런 노력은 결코 헛되지 않았다. 지난해 이탈리아의 한국 수출액은 2021년과 비교해 4.4% 증가했는데 수출액 상위 5개 품목이 가죽제품(1위), 신발(2위), 의류(4위), 보석류(5위) 등 패션 관련 상품이 대부분이었다.

페르디난도 구엘리 주한 이탈리아 무역관장은 “자동차까지 포함한 명품 브랜드 수출액은 이탈리아의 2022년 한국 전체 수출액의 절반 이상(51.3%)을 차지한다”며 “명품을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가 두드러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소비자들은 패션에 대한 애정이 강하다”며 “패션을 선도하려는 경향이 강하며 개성 있고 품질이 좋은 제품을 찾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탈리아의 작은 브랜드들도 찾는다”고 덧붙였다.

주한 이탈리아 무역공사는 2월 1일부터 3일까지 서울 성수동에서 패션 트레이드쇼 ‘이탈리안 패션 데이즈 인 코리아’를 개최한다. 이번에 참여하는 브랜드는 68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다.

또 이탈리아 유명 패션브랜드들의 미공개 의류를 선보이는 ‘이탈리아 에 디 모다’(이탈리아가 트렌드다) 전시가 12일까지 서울 가로수길에 있는 하이 스트리트 이탈리아에서 열린다. 프라다, 막스마라, 조르지오 아르마니, 미쏘니, 발렌티노, 에트로, 베르사체 등 브랜드의 미공개 의류 50여 벌을 전시한다.

잉그리드 버그만의 영화 ‘선인장 꽃’(1969)의 의상, 영화 ‘전쟁과 평화’(1956)에서 나타샤 역의 오드리 헵번을 위해 이탈리아의 유명 패션 디자이너 페르난다 가티노니(1906∼2002)가 제작한 의상도 특별 전시된다. 영화배우 라나 터너와 킴 노박이 입었던 옷도 볼 수 있다. 역시 이탈리아무역공사가 이탈리아 외무부, 이탈리아 대사관이 협력해 주관한다.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임병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