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재건 사업 뒤처질까 조바심 내는 日…기업인에 도항 제한 완화 추진

우크라 재건 사업 뒤처질까 조바심 내는 日…기업인에 도항 제한 완화 추진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4-02-15 15:27
업데이트 2024-02-15 15: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일 日 우크라이나 경제부흥추진회의 개최

세계 각국이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우크라이나의 재건 사업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다. 세계은행 추산 우크라이나 재건 비용이 10년 동안 4100억 달러(548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면서 대규모 수익 창출을 기대하는 국가들이 경쟁적으로 우크라이나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1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와 우크라이나 정부는 오는 19일 도쿄에서 ‘우크라이나 경제 부흥 추진 회의’를 열고 양국 정부와 민간이 복수의 협력 문서를 체결하기로 했다. 회의에서는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데니스 시미할 우크라이나 총리가 기조 연설하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화상 메시지를 보낼 예정이다.

일본 민간 기업은 우크라이나 측과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로 했다. 스미토모상사와 가와사키중공업은 우크라이나 국영 가스 수송 시스템 운영회사(GTSOU)와 제휴를 맺고 가스 수송 압축기 현대화 작업을 위한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라쿠텐그룹은 우크라이나 통신사업자와 협약해 5세대 이동통신(5G) 이용 기반 정비에 나서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나서는 일본 기업들을 위한 제도 지원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우크라이나 재건에 관여하는 기업인들에 한해 도항 제한 일부를 완화할 방침을 세웠다. 수도 키이우 등에 한해 일주일 정도 단기 체제를 허용하는 내용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일본 외무성은 우크라이나를 도항 정보상 가장 위험 단계인 ‘대피 권고’ 지역으로 설정해 일본 민간인들은 우크라이나에 갈 수 없는 상태다. 외무상 관계자는 니혼게이자이신문에 “재건 사업에 참여하길 위해 가려는 이들에게 사전 상담을 한 뒤 안전 확보책 등을 설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일본 정부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데는 한국과 유럽 등이 이미 앞서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아일랜드의 건자재 업체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우크라이나에 생산 거점을 설립하는 등 2억 8000만 달러(3734억원)가 넘는 투자 계획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독일 건자재 업체는 우크라이나 서부 르비우에 제2공장을 세우기로 했다.

한국은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 협의체인 ‘우크라이나 공여자 공조 플랫폼’(MDCP)에 신규 회원국으로 가입해 재건 사업에 공식 참여하게 됐다.
도쿄 김진아 특파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