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수구 관련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아이클릭아트
영국에서 시신을 물과 화학 물질로 분해해 액화시킨 뒤 하수구로 흘려보내는 이른바 ‘물 화장’(알칼리 가수분해)이 장례 방식의 하나로 공식 허용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11일(현지시간) 영국 더스탠다드 등에 따르면 영국 법률위원회는 최근 인간 유해를 환경친화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장례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이 같은 방식은 전통적인 매장이나 화장보다 온실가스 배출이 적고, 토양과 대기 오염 우려도 없다는 점에서 ‘친환경 장례’로 주목받고 있다.
물 화장은 높이 1.8m, 너비 1.2m 크기의 철제 용기에 시신을 넣고, 물과 알칼리성 화학물질을 함께 주입한 뒤 약 160도의 온도에서 약 90분간 가열해 분해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이 끝나면 모든 조직이 용해돼 DNA조차 남지 않고, 갈색의 액체와 부드러워진 뼈만 남는다. 남은 액체는 폐수 처리 과정을 거쳐 일반 하수와 함께 배출되며, 뼈는 유골처럼 유족에게 전달되기 위해 분쇄된다.
물 화장은 미국 30개 주, 캐나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서 시행 중이며 유럽에서는 아일랜드가 처음 도입했다. 아일랜드 미스주 나반에서는 지난 2023년 유럽 최초의 수중 화장 시설이 문을 열었다.
물 화장 과정을 직접 목격한 한 기자는 “끓는 알칼리 용액은 뼈를 제외한 모든 조직을 원소 단위까지 분해한다”며 “처음엔 생소했지만, 실제 과정을 보니 생각보다 덜 충격적이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현재 영국에서는 이 방식에 대한 명확한 규제가 없어 실제 시행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법률위원회는 이번 검토를 통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방식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시신 대부분을 폐수로 흘려보내는 행위는 일종의 시신 모독이며, 이에 따른 윤리적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 전문가는 “일부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의 유해를 하수에 버리는 행위로 받아들여 거부감을 느낀다”며 “하지만 병원이나 영안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역시 하수 처리되며, 실상은 큰 차이가 없다”고 설명했다.
한 장례 업체 관계자는 “회원과 소비자에게 가장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인 장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며 “법률위원회의 검토를 환영하며, 다양한 선택권을 통해 친환경 장례 문화가 확대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