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경제, 코로나에 곤두박질… 1분기 GDP 증가율 -4.8%

美경제, 코로나에 곤두박질… 1분기 GDP 증가율 -4.8%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4-29 23:14
업데이트 2020-04-30 0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4년 1분기 이후 6년만에 마이너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 하락 기록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코로나19 사태의 충격파를 견디지 못하고 마이너스 5% 가까이 곤두박질쳤다. 주요 경제관련 기관들이 예상했던 3.5%보다 하락폭은 더 컸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29일(현지시간)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감소(연율)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위축은 2014년 1분기 이후 6년 만의 마이너스 분기 성장률이며, 2008년 4분기(-8.4%) 이후 가장 가파른 감소세다. 지난해 미국의 성장률은 1분기 3.1%에서 2분기 2.0%로 급격히 둔화했다가 3~4분기 2.1%로 제자리걸음을 이어 갔다. 지난 한 해 연간으로는 2.3% 성장세를 기록했다. 미국 경제성장률은 속보치와 잠정치, 확정치로 3차례 나눠 발표된다. 이날 발표된 것은 속보치로 향후 수정될 수 있다.

미국의 1분기 마이너스 성장률은 예고된 결과다. 앞서 발표된 3월 소매 판매는 지난달보다 8.7% 감소해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가장 큰 월간 낙폭을 기록했다. 소비자 지출은 미국 경제 활동의 70%를 차지한다.

또 근로자들이 실업급여를 청구한 건수가 이달 23일까지 2645만 2000명으로 미국 전체 노동력의 16%에 이른다.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지난 10년간 미국 경제가 만든 일자리가 코로나19로 5주 만에 날아간 것이다. 3월 산업생산 역시 지난달보다 5.4% 감소해 2차 대전 직후인 1946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나타냈다.

특히 경제 전문가들은 3월부터 시작된 도시 봉쇄의 영향이 본격화되는 것은 4월부터이기 때문에 2분기 GDP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미국 GDP는 국가 봉쇄가 시작된 3월 19일부터 4월 15일까지 1조 2000억 달러(약 1461조 5000억원) 감소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 줄어든 것이다.

케빈 해싯 백악관 경제 선임 보좌관은 “미 의회의 재정지출 프로그램과 연준의 제로금리도 미국 경제를 살리긴 불충분하다”며 “1분기 마이너스 성장률은 향후 수개월간 나올 부정적인 뉴스에 비해 빙산의 일각 정도에 불과하며 2분기 경제는 (연율로) 20~30% 위축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20-04-30 1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