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실적 질주’

테슬라 ‘실적 질주’

김규환 기자
입력 2020-07-24 01:46
업데이트 2020-07-24 0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분기 순익 1250억원… 4분기째 흑자
주가 6% 급등… S&P500 자격 확보

이미지 확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4분기 연속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미 뉴욕증시의 대형주 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편입될 자격을 확보했다.

22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방송 등에 따르면 테슬라는 2분기 1억 400만 달러(약 125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60억 4000만 달러로, 지난해 대비 5% 줄었음에도 시장 예상치(53억 7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매출액이 줄어들었는데도 순익이 늘어난 것은 규제 크레디트(정부가 정한 배기가스 배출량을 밑도는 규모를 다른 회사에 판매해 얻은 수익)가 4배 늘어난 덕분이다. 장 마감 직후 실적 공개에 테슬라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6% 가까이 급등하는 등 이번 달에만 50%가 치솟는 고공행진을 이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테슬라는 S&P500지수의 마지막 편입 조건을 갖췄다고 마켓워치가 전했다. 이 지수에 편입되려면 ▲4분기 연속 흑자 ▲시가총액 82억 달러 이상 ▲미국에 본사 주재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S&P500지수에 이름을 올리면 대형 펀드와 벤치마크 추종 투자금 300억 달러 규모가 테슬라로 유입될 전망이다.

그러나 조건이 충족됐다고 곧바로 S&P500지수에 편입되는 것은 아니다. 지수 편입 여부는 S&P 다우존스 인디시즈의 지수위원회가 결정한다. 위원회에선 객관적 요건뿐 아니라 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종목인지,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고 있는지 여부도 함께 고려한다.

이런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텍사스 오스틴 인근 트래비스카운티에 친환경 기가팩토리(테슬라 공장)를 지어 사이버트럭과 모델3, 모델Y 등을 생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텍사스는 현재 테슬라 공장이 있는 캘리포니아주에 비해 법인세와 개인소득세 부담이 낮다.

김규환 선임기자khkim@seoul.co.kr
2020-07-24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