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재밌네”…금지 추진하던 트럼프, 개설 후 팔로워가 무려

“틱톡 재밌네”…금지 추진하던 트럼프, 개설 후 팔로워가 무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6-05 07:35
수정 2024-06-05 07: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틱톡 계정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틱톡 계정
재임 시절 틱톡 금지를 추진했다가 지난 1일 계정을 개설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폭발적인 인기를 자랑하며 조 바이든 대통령 대선 캠프를 월등한 격차로 따돌렸다.

NBC 등 미국 언론은 4일(현지시간)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 기업이 소유한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TikTok)에 계정을 연 지 하루도 안 돼 바이든 대통령 대선 캠프를 추월했으며 그 격차를 더 벌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날 기준 트럼프 전 대통령 틱톡 계정의 팔로워는 520만명, 좋아요는 540만회에 달한다. 반면 바이든 캠프의 틱톡 계정은 팔로워 35만 6000명, 좋아요 460만회에 머물러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틱톡 계정에는 하나의 영상이 올라와 있다. 지난 1일 올린 것으로 뉴저지주에서 열린 이종격투기(UFC) 302에 참석한 모습을 담은 영상이다.

미국 의회전문 매체 더힐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 틱톡 계정의 팔로워 숫자는 이 동영상을 올린 지 15시간도 안 돼 220만명의 팔로워를 확보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 동영상은 현재 6300만뷰를 기록하고 있다. 트럼프 캠프의 스티븐 청 대변인은 틱톡 계정 팔로워 규모와 관련해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와 모멘텀이 전국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친바이든 성향의 틱톡 크레이이터인 해리 시슨은 NBC에 “트럼프는 다른 소셜미디어(SNS)와 마찬가지로 계정 이름을 ‘리얼도널드트럼프’를 사용하고 있으나 바이든 캠프는 바이든HQ를 사용하고 있다”면서 “만약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개인 계정을 연다면 얘기는 달라질 것”이라고 옹호했다.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서울시의회 김혜영 의원(국민의힘, 광진4)이 대표발의한 ‘서울시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달 27일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은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응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체계적인 디지털 기술 교육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근거를 신설한 것으로, 실질적인 자생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서울시 소상공인 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긴 입법 성과다. 개정된 조례에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기술 역량강화 교육’을 서울시가 실시할 수 있는 경영 및 창업지원 사업의 하나로 명시(제8조 제7호의3)해, 관련 교육사업을 지속적이고 구조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갖췄다. 김 의원은 “디지털 기술이 일상화된 현재에도 키오스크 사용이나 온라인 판매조차 어려워하는 소상공인들이 여전히 많다”며 “단순한 재정지원만으로는 변화에 대응할 수 없으며,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진정한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실태조사 결과에(2021년 기준)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소상공인의 비율은 전체의 15.4%에 불과하며, 특히 제조업(7.6%), 숙박·음식점업(7.6%), 수리
thumbnail -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앞서 미국 의회는 안보 우려를 이유로 중국계 기업이 소유한 틱톡의 미국 사용 금지로 이어질 수 있는 강제매각법을 처리했으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4월 이 법에 서명했다. 그러나 바이든 대통령 대선 캠프는 젊은 유권자 공략을 위해 지난 2월부터 틱톡에 선거운동 계정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 개인 명의의 계정은 없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