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이반’ 부른 무르시의 10가지 중대 실수

‘민심이반’ 부른 무르시의 10가지 중대 실수

입력 2013-07-05 00:00
업데이트 2013-07-05 16: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무함마드 무르시 이집트 대통령이 집권 1년 만에 축출된 데에는 독단적 국정운영과 경제재건 실패가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그러나 이 밖에도 지나친 이슬람화, 사법부와 갈등, 언론 탄압 등 무르시의 축출을 초래한 원인은 다양하다고 아랍권 위성방송 알아라비야가 5일 보도했다.

다음은 알아라비야가 꼽은 무르시 대통령의 가장 큰 실수 10가지를 정리한 것이다.

▲국가 기관의 무슬림형제단화 = 무르시는 집권 수개월만에 다양한 국가 기관에 무슬림형제단 인사들을 대거 등용했다. 각료 5명, 대통령실 8명, 주지사 7명, 부지사 12명, 주 고문관 13명, 시장 12명 등이 무슬림형제단 출신이라고 알아라비야는 전했다.

▲사법부와 갈등 = 무르시는 3권 분립 원칙에 반해 사법부를 장악하려다가 사법부의 강력한 반발을 초래했다. 무르시는 지난해 11월 무바라크 정권 때 임명된 압델 메귀드 마흐무드 검찰총장의 해임을 명령했으나 법원은 지난 3월 위헌적 명령이라며 복직 명령을 내렸다. 지난해 11월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강화한 이른바 ‘파라오 헌법 선언문’도 사법부를 무력화하려는 시도였다.

▲탄타위 국방장관 해임 = 무바라크 정권에서 임명된 탄타위 국방장관 해임은 결과적으로 군부의 불신을 초래했다. 탄타위 전 장관은 호스나 무바라크 전 대통령의 하야를 종용한 군부 최고 실세 가운데 한 명이었다. 군부에 비판적인 무슬림형제단의 태도 역시 무르시와 군부의 관계를 불편하게 만드는데 일조했다.

▲언론 탄압 = 무르시 취임 이래 민영 TV 방송국 한 곳이 폐쇄되고 검찰 조사를 받은 언론인은 200명을 넘어섰다. 대통령실은 바셈 유수프를 비롯한 언론인과 기자 등을 상대로 100건의 소송을 제기했다. 언론 탄압이라는 비판에 무르시 정권은 폭력을 조장하고 대통령을 모독하는 보도를 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경제재건 실패 = 무르시는 대통령 선거 당시 공약으로 내세운 경제 되살리기에 실패, 민심이 등을 돌리게 했다. 최저 임금 인상, 생활 환경 개선 등의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1년간 이집트에서는 558건의 집회와 514건의 파업, 500건의 연좌 농성이 있었다. 지난해 11월 세법 개정을 통해 경기 회복을 시도했으나 필수품의 가격만 올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부적절한 외교 행보 = 무르시 대통령이 이란의 테헤란과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한 것은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란과 러시아가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의 시리아 정권을 지지하는 대표적 국가라는 점에서다.

▲무슬림형제단의 월권 = 무슬림형제단 지도자들은 공적 행사에서 종종 국정 관련 주요 정책을 발표하거나 연설을 해 왔다. 이는 국민에게 대통령이 아닌 무슬림형제단의 지도부가 실제 국정 결정권을 행사하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줬고 결과적으로 대중에게 부정적인 대통령 이미지를 형성했다.

▲부적절한 비상사태 선포 = 무르시 대통령은 나흘 간의 소요 끝에 수에즈 운하 인근 3개 도시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이를 30일간 유지했다. 의회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사안이었으나 무르시 대통령은 이를 무시했다.

▲부적절한 사면권 행사 = 무르시 대통령은 와디나트룸 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22명의 재소자에게 사면권을 행사했다. 그러나 이 가운데 일부는 마약 사범이나 살인범으로 적절한 사면 대상이 아니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야권 지도부 비판 일색 = 무르시 대통령은 무함마드 엘바라데이, 함딘 사바히, 아므루 무사 등 야권의 지도자급 인사들에게 비판 일색이었다. 무르시의 영향을 받는 언론사들은 이들이 민주 선거로 선출된 대통령을 비방한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