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술가 이불, PKM갤러리서 5년만에 국내 전시회
현대미술가 이불
세계를 무대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현대미술가 이불(51)이 신작 조각과 드로잉 작업을 중심으로 서울 삼청동 PKM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고 있다. 국내 갤러리 전시는 5년만이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 작품들은 거울의 무한중첩되는 이미지로 거대한 공간감을 이끌어 내는 작가의 기존 설치작업 ‘인피니티’시리즈와 ‘나의 거대한 서사’ 시리즈 같은 개념의 선상에 있다고 하지만 느낌은 완연히 다르다. 천장에 매단 형태의 조각들은 조명 장치를 연상하게 하고, 깨진 유리를 중첩시켜 만든 거울같은 작품들은 다분히 장식적이다. 지난 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었던 ‘현대차시리즈’ 전시에서 선보였던 대형 설치작품만을 생각하고 전시장을 찾았다면 ‘같은 작가의 작품인가?’라고 생각할 수 있을 정도다.
전시장에서 만난 작가는 이를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의미를 부여한다. 그는 “거대한 스케일의 작품을 지속적으로 하다보면 자칫 작품이 웅변조로 빠질 수가 있다”면서 “상투적으로 되는 것을 스스로 경계하기 위해 직접적이고 친근한 소통 방식을 을 택했다”고 말했다. 다정하게 다가가 속삭이는 작품들이라고 할까. 유리나 철, 강화 플라스틱 등의 대형 설치작품들이 무채색 일변도인 것과 달리 이번 신작에 색깔을 사용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작품들은 양면거울과 LED 조명, 알록달록한 내부의 크리스탈 구조물이 서로 결합해 장식적 아름다움이 돋보인다. 이중거울 사이에 모조 크리스털을 박아서 깊이를 알 수 없는 오묘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작품들, 체인이나 준보석 등 익숙한 재료들을 장식적으로 늘어뜨린 작품들은 작가의 상상력과 재료를 다루는 능숙함에 감탄하게 만든다. 작가는 “원래 내 작업에 자주 사용하는 오브제들”이라며 “다른 장소에서 다르게 쓰였을 뿐이에요. 일상에서 봐왔던 익숙한 소재들을 좀더 유희적으로 다뤄본 것”이라고 말한다. 그럼에도 그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어쩔 수 없이 진지한 주제다.
“걸려있는 조각들은 각자 현대미술의 다양한 양식들과 스타일을 갖고 있어요. 새로운 아이디어가 디자인화되면서 대중적으로 흡수되고, 그것이 진부해져서 다시 소멸되는 과정을 보여주고자 했습니다. 반복되는 문명의 진화과정을 작품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불은 현실과 이상에 대한 탐구를 시작한 ‘사이보그(Cyborg)’ 시리즈에 이어 8년 전부터 이상사회를 향한 인간의 열망을 형상화한 ‘나의 거대한 서사’ 시리즈를 시작해 ‘인피니티’ 등 다양한 버전을 선보이고 있다. 그의 회고전은 일본 도쿄 모리미술관을 시작으로 룩셈부르크 현대미술관, 스페인 카스텔로 현대미술관 등을 거쳐 10월 캐나다 밴쿠버 갤러리로 이어진다. 9월 중순 프랑스 릴 트리엔날레, 10월 파리의 팔레 드 도쿄에서 프로젝트 전시가 예정돼 있다. 이번 전시는 9월 25일까지.
함혜리 기자 lot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