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황하는 발걸음·답정너 ‘한’… 미니멀리즘 아쉬움 남긴 나부코

방황하는 발걸음·답정너 ‘한’… 미니멀리즘 아쉬움 남긴 나부코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12-05 05:58
수정 2023-12-05 05: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나부코’의 한 장면. 어린아이들이 등장해 이리저리 방황하고 있다. 국립오페라단 제공
‘나부코’의 한 장면. 어린아이들이 등장해 이리저리 방황하고 있다. 국립오페라단 제공
무대 위에 별다른 장치를 놓지 않고 배우들만 수십명을 올리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당연한 이야기지만 갈 곳 잃은 발걸음들이 어쩔 줄 모른 채 의미 없이 돌아다니게 된다. 다층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이야기에 자막을 띄우면 어떻게 될까. 물어볼 것도 없이 관객들은 상상력을 제한받고 연출이 정한 답에 수긍해야 하는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으니 너는 대답만 해) 상황이 된다.

국립오페라단이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3일까지 나흘에 걸쳐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인 ‘나부코’가 그랬다. 미니멀리즘의 극치라는 소개와 달리 미니멀한 무대 미학은 제대로 살아나지 않았고 빤히 보이는 연출 의도는 작품 감상의 해석을 제한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나부코’는 유대인들이 포로로 잡혀 바빌론에서 고난을 겪었던 구약성서 속 ‘바빌론 유수’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다. 국립오페라단이 탄생 210주년을 맞아 준비한 베르디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으로 2년 전에 선보였던 프로덕션을 그대로 가져왔다.

공연이 시작되자 무대에는 밀가루 폭탄을 뒤집어쓴 것처럼 하얗게 분칠한 성악가들이 등장했다. 미니멀리즘을 표방한 ‘나부코’는 중앙 천장에만 장치를 달아둔 채 본무대에는 별다른 장치를 두지 않았다. 1막에서는 팽이 모양의 거대한 추(錘)가 하나, 2막에서는 거대한 지구본이 등장했다.
이미지 확대
1막에 등장한 거대한 추. 국립오페라단 제공
1막에 등장한 거대한 추. 국립오페라단 제공
이미지 확대
2막의 거대한 지구본. 뉴시스
2막의 거대한 지구본. 뉴시스
그러나 해당 무대 장치가 작품의 흐름과는 크게 연계되지 않은 느낌이었다. 특히 2막에 등장한 지구본은 ‘아시아=식민지’를 대놓고 드러내겠다는 의미인지 작품의 배경인 중동지역이 아닌 아시아 대륙이 정면에 보이게 설치됐다. 의도가 있는 것인지 지구 자전축을 아예 반대로 설치한 데다 대륙 간 비율도 평소 보던 것과 다른 것은 물론 일본은 아예 지워버린 왜곡도 눈에 띄어 조악하다는 인상을 줬다.

이것 말고는 별다른 장치를 두지 않다 보니 무대 위에 수십명의 성악가가 방황하는 모습도 종종 눈에 보였다. 비디오 게임에서 사람이 조작하지 않는 캐릭터인 논플레이어 캐릭터(NPC)처럼 주역 가수의 아리아가 나올 때 나머지 인물들은 의미 없이 왔다 갔다 하기만 했다. 굳이 무대 밖에 두지 않고 무대 위로 나오게 한 것이 의도한 부분이라면 이게 과연 어떤 의미를 파생시키는지 설득력 있게 와닿지 않았다.

바로 최근에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한 ‘노르마’가 종교연출의 진수를 보여줬고 세종문화회관이 선보인 ‘투란도트’가 간결하면서도 신선한 메시지를 담은 연출을 보여줬기에 아쉬움이 진하게 남았다. 마찬가지로 최근 공연에서 미니멀리즘한 연출로 독특한 미학을 뽐낸 성남문화재단 ‘나비부인’과도 비교됐다.
이미지 확대
가운데 ‘한’을 띄운 무대연출. 국립오페라단 제공
가운데 ‘한’을 띄운 무대연출. 국립오페라단 제공
‘나부코’의 후반부에는 무대 중앙에 한글로 ‘한’을 띄웠다. 유대인들의 이야기를 빗대 우리 민족의 정서인 ‘恨’을 드러낸 것인데 이 연출은 2년 전 공연 당시에도 호불호가 많이 갈린 부분이다. 그런데도 ‘벌거벗은 임금님’처럼 내부에서 누구도 지적을 못 한 것인지 이번에도 그대로 올려 작품을 감상한 관객들 사이에 또다시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렸다.

미니멀리즘은 최소화된 장치에서 다층적인 의미를 빚어내는 게 매력인데 1차원적인 연출로 이게 바로 ‘한’이라고 공지하면서 관객들의 상상력을 원천 봉쇄한 것도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다. ‘평화의 소녀상’을 닮은 수십 개의 조형물이 등장했는데 ‘평화의 소녀상’이나 원래 한복의 치마가 긴 것과 달리 치마를 무릎 위로 짧게 한 것은 세심함의 부족으로 느껴졌다.

최근 선보였던 다른 단체의 오페라보다 무대 연출 측면에서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성악가들이 들려준 ‘나부코’의 여러 아리아는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국립오페라단이기에 섭외할 수 있는 최정상급 성악가들의 클래스는 명불허전이었고, 성악가들은 2023년을 베르디 오페라로 꽉 채운 국립오페라단의 마지막을 화려하게 마무리하며 관객들의 뜨거운 박수를 받고 유종의 미를 남겼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