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일단 첫 문장부터 써라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일단 첫 문장부터 써라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5-07 17:50
업데이트 2020-05-08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글쓰기 백전노장들의 비법

이미지 확대
글은 벽 같습니다. 글쓰기 전에는 항상 ‘저 벽을 넘을 수 있을까?’ 한숨부터 나옵니다. 거의 매일 크고 작은 벽을 넘으면서 ‘내가 잘 넘는 걸까?’ 의구심이 듭니다. 그래서 글 쓰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나오면 항상 챙겨 봅니다. 실력이 모자라니 책이라도 읽으면 좀 나아질까 이런 생각에서입니다.

몇십 년 동안 글을 쓴 백전노장들이 알려주는 글쓰기 비법을 담은 신간 두 권이 눈에 띕니다.

‘네 번째 원고’(글항아리)는 논픽션의 대가로 유명한 존 맥피의 글쓰기 방법을 담은 에세이집입니다. 올해 90세인 그는 인물, 역사, 자연, 과학, 스포츠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무려 30권이 넘는 책을 냈습니다.

그는 자신의 지난 글을 예로 들어 글쓰기 발상과 구조, 집필과 퇴고, 교정·교열 방법을 책에서 알려줍니다. 개인적으로는 독자를 끌어들이는 글 구조 짜는 방법을 알려주는 ‘구조’ 편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퇴고 과정과 방법을 설명한 ‘4번째 원고’ 편도 인상 깊었습니다.
이미지 확대
‘어느 노 언론인의 작문 노트’(지식노마드)는 2017년 87세로 운명한 일본 저널리스트 다쓰노 가즈오가 쓴 글쓰기 방법론입니다. 일본 아사히신문 1면 칼럼인 ‘천성인어’를 13년 동안 쓴 그는 글 쓰는 태도와 좋은 문장 만들기, 글감 만들기 등 모두 38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권력을 좇고 남을 음해하는 사람이 ‘좋은 사람인 척’해 봤자 곧 드러난다고 지적하고, 허세를 부리지 말고 어깨에 힘을 뺄 것을 주장합니다. 그러면서도 가진 것을 다 쏟아내는 마음가짐으로 글을 쓰라고 충고합니다.

두 대가가 공통으로 강조하는 부분이 바로 ‘시작’입니다. 한 번에 멋진 글을 뽑아낼 생각을 버리고 우선 첫 문장이라도 쓴 다음 여러 차례에 걸쳐 고쳐 나가라고 강조합니다. 무엇보다 자신의 생활도 잘 관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책을 모두 읽었지만, 안타깝게도 글쓰기 실력이 확 늘어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대가들도 글쓰기가 여전히 어렵다는 고백을 읽으니, 왠지 위안이 되긴 합니다.

gjkim@seoul.co.kr
2020-05-08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