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조시인협회 창설 앞장선 유성규 시인 별세

한국시조시인협회 창설 앞장선 유성규 시인 별세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02-12 15:54
업데이트 2024-02-12 16: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유성규 시조시인. 유족 제공
유성규 시조시인. 유족 제공
한국시조시인협회를 창설하는 데 앞장섰던 유성규 시조시인이 지난 8일 세상을 떠났다. 94세.

1930년 인천 북구 시천동에서 태어난 고인은 서울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한 뒤, 경희대 한의학과에 입학했다. 이후 원광대 한의학과 교수로 강단에 섰고, 백제한의원을 운영했다.

1958년 제2회 개천절 경축 전국 백일장 시조부 장원으로 뽑혔고, 195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청자’가 입선했다. 1962년 시조 ‘산’으로 ‘자유문학’ 신인상을 받았다. 1964년 한국 최초의 시조시인 협회인 ‘한국시조시인협회’를 만드는 데 앞장섰고, 1989년 2월 시조 전문 잡지인 ‘시조 생활’을 창간했다. 동시조 전문잡지 ‘우리 동시조’도 발행했다.

1985년에 첫 시조집 ‘동방영가’를 냈다. 1989년 ‘전민족시조생활화운동본부’를 창립했고, ‘세계전통시인협회’와 ‘한국아동시조시인협회’ 회장을 지냈다. ‘소록도 가는 길’이 고등학교 교과서, ‘상(像)’이 중학교 교과서, ‘우리 식구’가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에 실렸다. 동시조집 ‘연필 화났다’(2009), ‘물수제비 퐁퐁퐁’(2015)을 펴냈다. 가람시조문학상(1984), 육당시조문학상(1992)을 받았다.

유족은 부인 원소인 씨와 사이에 4녀로 유민정·신정·호정·소연 씨와 사위 이상준·이장균·노창현·최운찬 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1호실, 발인 14일. (02)2258-5940

오경진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